Thursday, October 30, 2008

DongA Ilbo and the government are told to apologize for past civil rights violation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ort finds DongA colluded with KCIA to fire journalists during Park Chung-hee era

In the latest of a series of findings, the official governmen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as determined that one of the more famous press suppression cases of the Park Chung-hee years, the “DongA Ilbo Advertising Coercion and Forced Layoff Case” during 1974 and 1975, was orchestrated by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KCIA, now known as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that the DongA Ilbo itself went along with what was unjust oppression by the Yusin regime, as it was called.


In a report issued October 29, the commission formally recommends that the state and the DongA Ilbo “apologize to those who were fired and make appropriate amends” for what the report defines as “a case in which the state power apparatus, in the form of the KCIA, engaged in serious civil rights violations.”


According to the commission, the KCIA summoned companies with significant advertising contracts with the DongA Ilbo Company to the KCIA’s infamous facility in Seoul’s Namsan neighborhood and had them sign written documents pledging to cancel their contracts with the company for advertisements with its various periodicals, including the daily DongA Ilbo, and also with DongA Broadcasting, which Chun Doo-hwan later took from them.



Individuals who bought smaller advertisements with the DongA Ilbo expressing encouragement to the paper were either called in or physically detained by the KCIA and threatened with tax audits.


The commission cited the DongA Ilbo for “surrendering to the unjust demands of the Yusin regime by firing journalists at the government’s insistence, instead of protecting the journalists that had stood by the newspaper to defend its honor and press freedom.” The report says the KCIA demanded, and the DongA Ilbo accepted, the condition that no less than five newspaper section chiefs always confer with the KCIA before resuming advertisements.


On seven occasions between March and May of 1975, the DongA Ilbo fired 49 journalists and “indefinitely suspended” the employment of 84 others. The commission cited executives at the time for “failing to admit that the firings were forced by the regime” and for thereby “going along with suppression of press freedoms for claiming they were being fired for managerial reasons.”


“Ultimately,” the report says, the DongA Ilbo “will find it hard to avoid responsibility for hurting the freedom of the press, the livelihoods of journalists, and (its own) honor.”


Later on the day the report was made public, members of the Struggle Committee to Defend Press Freedom at the DongA (DongA Teugwi), an organization of journalists who were fired at the time, met with the media in front of the DongA Ilbo Company’s offices along Seoul’s Sejongno boulevard to read a statement calling on the government and the newspaper to “accept the recommendation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nd apologize to us journalists, and take action commensurate with what happened to correct the damage.”


Many of the journalists suspended or fired from the DongA Ilbo later went on to found The Hankyoreh.

The winner takes it all??; WWII forced labor issue dogs Aso, Japanese firms

The Japanese Prime Minister pledged, "From now on, I will make statements while bearing in mind the gravity of the words of a prime minister." But never apologied the victims about the forced labor his family firm of "ASO Mining Co." implemented upon the POWs of the war in 1945.


By WILLIAM UNDERWOOD


Special to The Japan Times
After evading the issue for more than two years, Taro Aso conceded to foreign reporters on the eve of becoming prime minister that Allied POWs worked at his family's coal mine in Kyushu during World War II.


Labor pains: Prime Minister Taro Aso was president of Aso Cement Co., the successor firm to Aso Mining, in the 1970s. Hundreds of Allied POWs and thousands of Koreans conscripts were forced to work for the firm during the war. YOSHIAKI MIURA PHOTO
But Aso's terse admission fell far short of the apology overseas veterans' groups have demanded, while refocusing attention on Japan's unhealed legacy of wartime forced labor by Asians and Westerners.

Calls for forced labor reparations are growing louder due to Prime Minister Aso's personal ties to the brutal practice, as well as his combative reputation as a historical revisionist. The New York Times recently referred to "nostalgic fantasies about Japan's ugly past for which Mr. Aso has become well known." Reuters ran an article headlined "Japan's PM haunted by family's wartime past."

Three hundred Allied prisoners of war (197 Australians, 101 British and two Dutch) were forced to dig coal without pay for Aso Mining Co. in 1945. Some 10,000 Korean labor conscripts worked under severe conditions in the company's mines between 1939 and 1945; many died and most were never properly paid.

Taro Aso was president of Aso Cement Co., the successor firm to Aso Mining, during the 1970s and oversaw publication of a 1,000-page corporate history that omitted all mention of Allied POWs. Aso's father headed Aso Mining during the war. The family's business empire is known as Aso Group today and is run by Aso's younger brother, with the prime minister's wife serving on the board of directors. The company has never commented on the POW issue, nor provided information about Aso Mining's Korean workforce despite requests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wspapers in Australia and the United Kingdom vigorously reported Aso Mining's use of POWs in 2006. But with Aso then at its helm, Japan's Foreign Ministry cast doubt on the overseas media accounts and challenged journalists to provide evidence.

Last year The Japan Times described how, in early 1946, the Japanese government presented Allied war crimes investigators with the Aso Company Report, detailing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for the 300 prisoners. Yet Foreign Minister Aso continued to sidestep the POW controversy even after his office was provided with a copy of the report, which is written on Aso Mining stationery and bears company seals.

Courts in Japan and former Allied nations have rejected legal claims by ex-POWs, so the U.K.,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the Netherlands and Norway have all compensated their own surviving POWs. Hundreds of British and Dutch POWs and family members have made reconciliation-style visits to Japan in recent years as part of the Tokyo-sponsored Peace, Friendship and Exchange Initiative. Stiffed by the U.S. government, American POWs have also been excluded from Japan's reconciliation schemes — a situation they say Prime Minister Aso has a special responsibility to correct.

Some 700,000 Korean civilians — including teenage girls — were brought to Japan to work for private firms through various means of coercion. Hundreds of thousands of other Koreans were forced to perform harsh labor elsewhere in Japan's empire or conscripted into the Japanese military.

South Korea's 85-member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began work in 2005. Legislation passed last year will provide national payments of up to $20,000 to former military and civilian conscripts and family members. The measure also calls for individually tailored compensation based on unpaid wages, pension contributions and related benefits owed to Korean workers but now held by the Bank of Japan.

Seoul needs Japanese cooperation in the form of name rosters and details about the BOJ financial deposits in order to fully implement its compensation plan. Repatriating the hundreds of sets of Korean remains currently stored in Japan, many of them belonging to military and civilian conscripts killed during the war, is another key aim of ongoing reparations work. Company records would greatly aid the process of identifying remains that have been located in temples and municipal charnel houses around the country.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cooperating fitfully on "humanitarian grounds" in the case of military conscription, supplying Korean officials with some wartime records and returning the remains of 101 Korean soldiers to Seoul last January. But the Japanese side is mostly stonewalling on civilian conscripts like those at Aso Mining.

Japanese officials contend, rather implausibly, that they do not know how many Korean civilians were conscripted or how many died in the custody of private companies because the state was never directly involved. South Korea's truth commission criticized Aso Group and Foreign Minister Aso in 2005 for failing to supply information.

"I have no intention to explain," Japan's chief diplomat told a Japanese reporter at the time. Earlier this month, Diet member Shokichi Kina asked Prime Minister Aso whether any data about Aso Mining was ever given to South Korea. Aso replied that his administration will not disclose how individual corporations have responded to Korean inquiries.

Noriaki Fukudome of the Truth-Seeking Network for Forced Mobilization, a citizens group based in Fukuoka, has been centrally involved in advancing the South Korean truth commission's work within Japan.

Aso Group, says Fukudome, "has an obligation to actively cooperate with returning remains and providing records because it was one of the companies that employed the most forced laborers. But Japanese companies are keeping a lid on the whole forced labor issue. In the unlikely event that Prime Minister Aso was to direct Aso Cement (now Aso Lafarge Cement since its merger with a French conglomerate) to actively face the forced labor problem, it would have a huge effect on all Japanese companies."

Fukudome pointed to Japan's conformist corporate culture as one reason why very few of the hundreds of companies that used Asians and Allied POWs for forced labor have taken steps toward reconciliation. "Even if one company has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regarding reparations, it will not take action out of deference for other companies," he said.

Chinese were the victims of the third class of forced labor in Japan. While Aso Mining was not involved in Chinese forced labor, lack of progress for the especially compelling redress claim highlights Japan's weak commitment to settling wartime accounts.

Postwar records secretly compiled — and then purposely destroyed —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35 companies state that 38,935 Chinese males between the ages of 11 and 78 were brought to Japan between 1943 and 1945. More than one out of six died.

Japan's Supreme Court ruled last year that the 1972 treaty that restored ties between Japan and China bars Chinese forced labor survivors from filing legal claims. Yet the court found that plaintiffs had been forcibly transported to Japan and forced to toil in wretched conditions, and suggested they be redressed through non-judicial means. Having previously declared that the "slave-like forced labor was an outrage against humanity," the Fukuoka High Court earlier this month similarly urged "voluntary measures" to remedy the injustice.

Kajima Corp., one of the world's largest construction companies, set up a "relief fund" in 2000 to compensate survivors of its Hanaoka work site, where 418 out of 986 Chinese perished and an uprising took place. The move prompted expectations that Japan's industrial sector and central government might establish a redress fund for all its victims of forced labor, similar to the "Remembrance, Responsibility and the Future" Foundation enacted in Germany that same year. The $6 billion German fund eventually compensated 1.6 million forced labor victims or their heirs.

Such hop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Japan were dashed. On the contrary, Mitsubishi Materials Corp. defended itself in a Fukuoka courtroom in 2005 by rejecting facts about Chinese forced labor routinely recognized by Japan's judiciary and insisting only voluntary workers were used — despite death rates of up to 31 percent at its Kyushu mines. Mitsubishi openly questioned whether Japan ever "invaded" China at all and warned judges that compensating the elderly Chinese plaintiffs would saddle Japan with a "mistaken burden of the soul" for hundreds of years.

Taro Aso, in fact, is not the Japanese prime minister most closely connected to forced labor. Wartime Cabinet minister Nobusuke Kishi was in charge of the empire's labor programs and was later imprisoned for three years as a Class A war crimes suspect. Kishi went on to become a founder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 1955 and Japan's premier from 1957-60. Former Prime Minister Shinzo Abe is Kishi's grandson.

Foreign Ministry files declassified in 2002 revealed that Kishi's administration conspired to deceive the Diet and citizens' groups about the state's possession of Chinese forced labor records. Kishi's intent was to block Japanese activists from returning remains to China and publicizing the program's true nature, as well as to head off state reparations demands from Beijing. In 2003, the Foreign Ministry searched a basement storeroom and found 20,000 pages of Chinese forced labor records submitted by companies in 1946, despite decades of denials that such records existed.

Millions of Asians performed forced labor outside of Japan during the Asia Pacific War, very often for the benefit of Japanese companies still operating today. The so-called comfort women represent a uniquely abused group of war victims forced to provide sex for Japan's military. Last year government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urged Japan to do more to right the egregious comfort-women wrong.

The Dutch foreign minister renewed that call last week, prior to a visit to Japan set to include a stop at the Commonwealth War Cemetery where hundreds of Allied POWs are buried, including two Australians who died at Aso Mining.

Days after assuming Japan's top post, Aso apologized "for my past careless remarks" in a speech before Parliament. "From now on," he pledged, "I will make statements while bearing in mind the gravity of the words of a prime minister." Many are waiting for the words "I'm sorry" for forced labor.

William Underwood completed his doctoral dissertation at Kyushu University on forced labor in wartime Japan. His past research is available at www.japanfocus.org and he can be reached at kyushubill@yahoo.com. Send comments on this issue and story ideas to community@japantimes.co.jp

진실위 "`동아일보사태' 중앙정보부가 주도"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Korea found the lay-offs of over a hundred of journalists at Dong-a Daily newspaper who were not following the emergency sensorship regulations from the Park Jeong-hee's government was illegitimate and the KCIA (now, NIS) was involved to press its advertisers to literally block the money flow of the paper in 1975. See details below and let me know if you have trouble to read it.
----------------------------------------------------------------------------------

연합뉴스 2008-10-29

33년 만에 진상 규명.."언론자유 심각한 훼손"

1970년대 유신정권에 의해 자행된 대표적인 언론탄압 사건으로 꼽히는 `동아일보사태'의 진상이 33년 만에 규명됐다.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 이하 진실위)는 1974년 동아일보 광고탄압 및 1975년 기자 해직 사건과 관련, 당시 중앙정보부(현 국가정보원)가 적극 주도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진실위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앙정보부는 1974년∼1975년 동아일보사와 계약한 대형 광고주들을 남산 중앙정보부로 불러 동아일보와 동아방송, 여성동아, 신동아, 동아연감 등에 내고 있던 광고를 취소하고 광고를 주지 않겠다는 서약서와 각서를 쓰게 했다.

또 소액광고주들에게도 중앙정보부 출두, 경찰 연행 조사, 세무사찰 등의 방법으로 광고 중단 압력을 가했다.

중앙정보부는 또 광고를 다시 수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건으로 핵심부서 5개 국장의 인사문제를 협의할 것과 정부 정책에 비협조적이었던 점을 사과하는 기사를 게재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진실위는 비슷한 시기 조선일보에서도 언론인들이 상당수 해임되고 기자협회보가 강제 폐간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진실위는 "이 사건은 동아일보에 대한 부당한 탄압일 뿐 아니라 기업활동의 자유, 언론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심각한 훼손"이라고 강조했다.

진실위는 1975년 기자 강제 해직사건과 관련, "동아일보는 자사의 명예와 언론자유를 위해 헌신했던 기자들을 유신정권의 부당한 요구에 굴복해 해임하고서도 진실을 시인하지 않았다"며 "피해 언론인들의 생존권과 명예를 침해했다"고 말했다.

진실위는 이에 따라 국가에 동아일보사와 피해 언론인들에게 사과하고 정당한 평가와 피해 회복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하고 동아일보에 대해서도 관련 언론인들의 피해와 명예를 회복시키는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

`동아사태'는 1974년 10월23일 서울대학생 데모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던 당시 송건호 편집국장 등 동아일보 기자들이 중앙정보부로 연행된 것이 직접적인 발단이 됐다.

동아일보 기자들이 다음날 자유언론실천선언을 발표하고 일주일 만에 35개사 언론인들이 `언론자유'를 외치며 동참을 선언하자 중앙정보부는 `광고중단 압력'을 넣었고 사측은 1975년 3월부터 모두 7차례에 걸쳐 49명을 해임하고 84명을 무기정직 처분했다.

당시 해임된 기자들로 구성된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참으로 오랜 기다림이었다"며 "33년 전 `동아사태'가 이제 낱낱이 밝혀진 이상 정부와 동아일보는 마땅히 피해 회복에 적극 나서야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동아일보측은 "진실위가 중앙정보부 전 직원의 진술만으로 회사가 압력에 굴복했다고 말하지만 사실이 아니며 동아일보측에 관련 내용에 대해 질의한 적도 없다"며 "당시 해임은 광고수익 감소 등 경영악화로 말미암아 이뤄진 일"이라고 반박했다.

동아일보측은 특히 "이미 대법원도 관련 사건에 대해 `경영상의 해직'이라고 판결을 내린 바 있어 법률적으로도 완료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이준삼 기자 jslee@yna.co.kr

Wednesday, October 29, 2008

History teachers launch campaign against textbook revisions

History textbooks in Korea are written and published based on the guideline drawn by its government. This is rather odd from the beginning for a country claiming to be a democratic society where the freedom of speech is guaranteed.

Now, since the new government took the office, neo-conservative power's been surged in this land of morning calm, and now they, represented by a right civil group called "New Right," asks to revise the textbook guideline. Of course, much awes are coming from the progressives, historians, and educators within/outside the nation. See more details below.
--------------------------------------------------------------------------------

Following history scholars, history teachers nationwide launched a campaign to sign a “history educators’ declaration,” which says the “government’s move to revise the (history textbook) ‘A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has fundamentally shaken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and undermines the neutrality of education a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On October 19, the National History Teachers Association said, “History educators have begun to take action because they can not endure the government’s move to revise the history textbook in a direction that would comprehensively deny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which society has worked hard to gain.”


Since October 16, the NHTA has encouraged its members to sign the declaration on its Web site (http://okht.njoyschool.net) with a series of e-mails and mobile-phone text messages and has raised funds to advertise the declaration, which over 300 history teachers have signed in just three days.



Yun Jong-bae, the director of the NHTA, said, “With history teachers and scholars we will announce the ‘history educators’ declaration’ three times by the end of this month via advertisements in the media when the government finalizes the proposed revision. This is a rare moment because history teachers nationwide have collectively taken direct action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policy. That underscores how seriously they perceive this issue.” Of the 7,000 history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some 1,500 are members of the NHTA.


Jo Han-gyeong, a Korean history teacher at Bucheon North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said, “Last year, I taught students using Kumsung Publishing’s ‘A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 have read the textbook hundreds of times, but it is ridiculous to hear that the textbook is pro-North Korea, anti-U.S. and left-leaning. I decided to come forward because I can not endure the government’s absurd move to force students to examine history from only one point of view.”


Lee Seong-ho, a teacher at Baemyeong Middle School in the Songpa district in Seoul, said “If history education is shaken by political changes, classrooms will quickly become confused. I feel embarrassed for the government because it can not maintain the authorized textbook system.”

Monday, October 27, 2008

Kim Soo-im; Korean Matahari

신동아 2008-10-24

‘한국판 마타하리’ 김수임 사건 美 비밀문서 집중분석

1950년 한국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김수임. 그 앞에는 항상 ‘미모의 여간첩’ ‘한국판 마타하리’란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그는 광복 직후 남한 최고 권력자의 하나였던 주한미군 헌병사령관 베어드 대령의 내연녀였다. 동시에 북한 최고 실력자의 한 명이었던 이강국(북한 초대 외무부장)의 애인이었다. 1946년 미 군정청이 이강국에 대해 체포령을 내리자 베어드 대령의 차를 이용해 월북시켰는가 하면, 이강국의 지시에 따라 남한의 군사비밀을 빼돌리는 등 간첩활동을 한 혐의로 1950년 4월 체포돼 6월 사형당했다. ‘애인’ 이강국 역시 6·25전쟁 종전 직전 북한에서 간첩혐의로 처형당했다.

사라진 재판기록

이처럼 그는 반공의식을 고취시킬 대표적 사례였을 뿐 아니라 삼각관계, 죽음, 비극적인 사랑 등 극적인 요소가 많아 오랫동안 영화와 드라마, 소설의 단골 소재로 인구에 회자됐다.

1950년 미국잡지 ‘코로넷(Coronet)’에서는 그를 ‘남한 사교계의 여왕은 빨갱이였다’라는 제목의 기사로 소개하며 ‘미국을 배신한 한국인 팜파탈’이라고 규정했다. 그의 이야기는 미국에서도 드라마로 여러 편 제작될 정도였다. 로널드 레이건이 주연한 드라마에서는 ‘아시아의 마타하리’로 묘사됐다. 워싱턴의 칼럼니스트 드류 피어슨은 ‘그의 간첩행위가 6·25전쟁이 전면전으로 비화하는 도화선이 됐다’며 6·25전쟁을 유발시킨 장본인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 ‘나는 속았다’(1963), ‘특별수사본부 김수임의 일생’(1974), TV드라마 ‘제1공화국-여간첩 김수임’(1981), 실화소설 ‘특별수사본부-여간첩 김수임’(1980) 등을 통해 주로 ‘붉은 여간첩’ ‘한국판 마타하리’로 그려졌다. 또한 가택수색을 하러 온 수사관들에게 술상을 차려주는가 하면, 미리 몸단장을 할 수 있도록 사형 전날 알려달라고 당부했다는 ‘요부’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했다.

우리 사회가 민주화하면서 김수임을 바라보는 시각도 조금씩 달라졌다. 사랑에 목숨까지 바친 ‘순수한 여인’, 사랑 때문에 간첩행위까지 했으나 결국엔 사랑마저 이용하는 공산주의자에게 이용만 당하고 버림받은 ‘가엾은 여인’으로 그려졌다. 배우 윤석화가 김수임 역을 맡은 연극 ‘나, 김수임’(1997), 김수임의 대학후배 전숙희씨의 실화소설 ‘사랑이 그녀를 쏘았다’(2002), 드라마 ‘서울 1945’(2006) 등이 그것이다.

학계 일각에선 ‘남북대립 상황에서 반공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됐다’ ‘좌우 이데올로기 대립과 미군정의 과도기에 벌어진 정치게임의 희생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지만, 이를 뒷받침할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사건의 진실을 파악할 자료가 너무 빈약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규정상 영구보존해야 하는 판결문 등 재판기록마저 행방불명이다. 앞뒤의 사건기록과 판결문은 다 남아 있는데 김수임 사건 기록만 사라졌다. 따라서 언제 사형이 집행됐는지조차 공식기록이 없다.

그런데 최근 미국 AP통신에서 그의 죽음과 관련 새로운 시각을 보도했다. 비밀 해제된 ‘베어드 조사보고서(이하 베어드 파일)’ 등 미 국립문서보관소(NARA)에서 발굴한 1950년대 기밀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과는 사뭇 차이가 있다는 것. 사건 자체가 조작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베어드 파일’은 미 육군성이 작성한 비밀문서다. 미 육군성은 1950년 8월2일부터 김수임의 자백 및 재판기록을 토대로 베어드 대령의 관련 여부에 대해 조사했다. 그가 정부(情婦)인 김수임에게 주한미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는지 여부와 그녀의 공산주의 활동을 보호, 지원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게 핵심이었다. 3개월에 걸친 조사를 마친 뒤 300여 쪽에 달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이게 ‘베어드 파일’이다.

기사에 따르면 김수임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한 사람은 바로 김수임의 아들 김원일(59·캘리포니아 라시에라대학·신학) 교수였다. 김 교수는 10년 넘게 어머니 김수임을 연구했는데, 그가 찾아낸 자료만 ‘베어드 파일’ 등 1000여 쪽에 달한다고 한다. 그리고 김 교수의 곁에는 김수임을 새로운 시각으로 영화화하려는 조명화(63) 감독이 있었다. 조 감독 역시 6년째 김수임을 연구 중이라 서로 자료와 정보를 교환해왔다.

김원일 교수가 발굴한 베어드 파일 등 미국의 기밀문서들과 김수임 사건 재판 보도 기사, 북한의 이강국 재판기록, 관련자들의 증언 등을 토대로 김수임 사건의 진실을 재조명했다.

파란만장한 삶

출생에서 죽음까지 김수임의 삶은 말 그대로 파란만장했다. 1911년 개성에서 빈농의 딸로 태어난 그는 어려서 부모가 이혼하고 각각 재혼해 가계(家系)가 복잡하다. 어머니가 다른 이복(異腹)동생도, 아버지가 다른 이부(異父)동생도 있다. 가난으로 11세 때 민며느리로 팔려가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 선교사의 도움으로 서울로 올라와 학업을 계속할 수 있었고, 총명한 머리로 이화여전 영문과를 뛰어난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렇다고 외모까지 출중한 편은 아니었던 모양이다. 베어드 파일엔 서울 옥인동 자택에서 찍은 2장의 사진을 첨부한 뒤 “알려진 것(대단한 미인)과 실제 외모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메모가 붙어 있다.

1932년 대학을 졸업한 그는 성공회 기숙사에서 기거했는데, 학창시절부터 알고 지내던 시인 모윤숙과 같은 방을 썼다. 능통한 영어 실력으로 세브란스병원 치과과장 비서 겸 통역으로 일했다. 지인들은 그를 사교적이고 활동적이었으며 폭스트롯(사교춤의 일종)을 잘 추고, 패션 감각도 있었다고 기억했다. 모윤숙은 에세이 ‘회상의 창가에 서서’에서 김수임을 “마태복음을 줄줄 외는 기독교 신자” “아주 명랑하고 어떤 장소에서든 웃음을 한 바가지씩 들고 나오는 여자”라고 표현했다.

김수임은 이 무렵에 이강국을 만났다. 이강국은 당대 최고의 수재로 유명했으며 독일 유학까지 다녀온 엘리트였다. 전숙희씨는 ‘사랑이 그녀를 쏘았다’에서 1929년 이강국이 원산노동자총파업과 관련해 구속됐을 때 모윤숙이 김수임을 데리고 면회를 가면서 두 사람이 처음 알게 됐다고 기록했지만, 사실이 아닌 듯하다. 당시 이강국이 구속됐다는 기록이 전혀 없다. 이강국은 1938년에 구속된 적이 있는데 이때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김수임과 이강국은 각각 자신의 재판에서 두 사람이 만난 것은 1940년대 초였다고 진술했다. 특히 김수임이 “1942년 동무의 집에서 윷을 놀다가 우연히 알게 되었는데, 첫인상이 좋아 교제를 시작했다”고 구체적으로 진술한 것이 눈에 띈다. 두 사람은 사회주의운동을 함께 하며 동지에서 연인으로 발전했다.

해방 정국에서 이강국은 여운형을 중심으로 수많은 사회단체와 정당들이 연합 결성한 민족주의민족전선(약칭 민전) 사무국장에 오르면서 정치적 입지를 굳혀간다. 하지만 1946년 8월 동아일보에 미군정을 비판하는 칼럼을 발표하자 미군정에서 그에 대한 체포령을 내린다. 이에 김수임의 도움으로 북한으로 탈출한다.

반면, 김수임은 선교사의 추천으로 반도호텔에 취직한다. 당시 반도호텔은 미군정 사무실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는 미군 헌병대장 베어드 대령의 통역 겸 수행비서로 일했다.

베어드의 배신

김수임이 어떻게 베어드와 인연을 맺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전숙희씨는 “김수임이 피했지만 베어드가 워낙 김수임을 좋아해 계속 쫓아다녔다. 결국 자기도 외로우니까 받아들였다”고 증언했다. 하지만 김수임은 이강국을 월북시킬 때(1946년 9월) 이미 베어드가 마련해준 옥인동 집에 살았다. 두 남자를 동시에 만났던 셈이다.

베어드 파일에 의하면 베어드는 김수임을 위해 집(옥인동 19번지)을 마련하고 동거했다. 김수임은 1949년 11월 베어드의 아이를 낳았다. 김수임의 친구였던 낸시 킴은 “그녀는 베어드 대령의 아이를 가졌습니다” “우리는 모든 것을 알고 있었지요. 그는 당시 김수임의 유일한 남자친구였어요. 그는 그 집에서 여러 밤을 보냈습니다. 아이도 아버지를 닮았습니다”라고 증언했다. 김수임은 임신 사실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꺼려서인지 출산을 전후해 6개월 동안 청량리 위생병원에 장기입원하기도 했다.

김수임이 한국 수사당국에 검거된 것은 1950년 4월21일이었다. 검거과정도 불분명하다. 김수임과 모윤숙은 생일이 비슷해 기숙사 시절부터 한날에 생일파티를 함께 하곤 했다. 그가 붙잡힌 날은 모윤숙의 생일(음력 3월5일)이었다.

검거 당시 상황을 기록한 것으로는 모윤숙의 에세이와 전숙희의 실화소설, 오제도 검사의 수기가 있다. 그런데 붙잡힌 상황 설명이 저마다 다르다. 모윤숙은 김수임이 먼저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 집에 오겠다고 해 자기 집에서 함께 밥을 먹고 있는데 경찰들이 들이닥쳤다고 기록했다. 반면 전숙희는 모윤숙이 먼저 김수임에게 자신의 집으로 와서 밥을 먹자고 전화를 해서 김수임이 집을 나섰다가 경찰에 붙잡혔다고 적고 있다.

당시 김수임이 살던 옥인동 19번지는 미군 관할 구역이라 한국 경찰이 함부로 들어갈 수 없었다. 따라서 김수임을 붙잡으려면 그를 집 밖으로 끌어내야 했다. 그래서 모윤숙이 김수임을 밖으로 불러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조명화 감독은 “베어드가 가장 나쁜 사람”이라고 말했다.

“베어드는 처녀였던 김수임에게 접근하면서 ‘본국에 아내와 자식이 있지만 사이가 안 좋아 이혼수속 중이다. 내가 한국근무 끝나면 결혼해 미국에 가서 살자’고 했다. 김수임은 그렇게 믿었을 것이고, 그래서 낙태를 하지 않았을 것이다. 모윤숙의 증언에 따르면 베어드는 김원일의 백일잔치에도 참석해서 무척 좋아했다고 한다. 그런데 실제로는 1949년에 베어드의 부인과 아들이 한국에 와서 함께 살고 있었다. 김수임을 속인 것이다.

또한 김수임이 한국 경찰에 잡혔을 때, 베어드는 그를 구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었다. 김수임이 간첩이 아니라면 누구보다도 그걸 증언해줄 위치에 있었다. 하지만 그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더구나 김수임의 재판이 열리기도 전에 서둘러 한국을 떠나 미국의 가족에게 가버렸다. 갓난아이까지 팽개치고.”

간첩 논란의 쟁점과 진실

1950년 6월14일, 베어드가 한국을 떠난 지 9일 후, 김수임은 남한 군사법정에 섰다. 처음엔 혐의가 19가지였지만 정식 기소장에 기재된 것은 13가지였다. 가장 중대한 혐의라 할 수 있는 ‘1948년 12월에 육군특무대에 수감 중이던 남로당의 빨치산 총책인 사형수 이중업을 빼내 의사로 가장시켜 월북시켰다’는 혐의를 입증할 수 없었던지 기소장에서 삭제했다. 가택수색 과정에서 집에서 권총 3자루와 총알 180정이 나왔다든지, 북한으로 보내려던 많은 기밀물건이 압수됐다든지 하는 내용은 증거로서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기각됐다. 기소에 무리가 있었다는 반증이다.

김수임을 사형으로 이끈 13가지 혐의는 다음과 같다.

1. 1946년 9월 이강국을 자신의 집에 은닉시킨 후 베어드 대령 지프로 개성까지 데려다줌으로써 월북을 가능케 함.
2. 1946년 12월부터 1948년 7월까지 이강국의 연락원을 은닉 보호하며, 그를 통해 서신을 수신하고, 이강국에게 다량의 커피, 미제 연초 등의 물자를 제공.

3. 1947년 12월 이강국이 남로당에 보낸 정치자금(일본은행권)을 베어드 대령이 제공한 군용트럭으로 서울에 옮김.

4. 1948년 9월 북한에서 온 남로당원을 자신의 집에 은닉 보호.

5. 1948년 12월 및 1950년 1월 초 남로당 박민호, 김용봉에게 미군철수문제 한국경찰 무장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

6. 1948년 9월 베어드 대령으로부터 지프 2대를 공짜로 얻어 1949년 7월 남로당 박민호 최만용에게 매도.

7. 1949년 9월 남로당 최만용이 장물고매(臟物故買)한 지프에 대해 자동차 사용허가를 내줌.

8. 1949년 7월 자신의 자동차를 남로당 최만용이 언제든 사용할 수 있도록 함.

9. 1949년 8월 남로당 최만용이 군 수사기관에 체포된 것을 구호 석방하는 자금을 대줌.

10. 1949년 8월 남로당 최만용의 불법무기를 자가에 은닉.

11. 1949년 8월 남로당 박민호에게 자가에서 라디오 1대 미제 무전기 1대를 제공.

12. 1949년 12월 남로당 이용원에게 돈을 빌려주어 적을 이롭게 함.

13. 1949년 12월 남로당 이용원의 불법무기를 자신의 집에 은닉.

김수임은 위와 같은 혐의로 6월28일(베어드 파일 근거) 사형을 당했다. 과연 이것이 사형을 당할 정도로 엄중한 간첩혐의였을까? 베어드 파일과 조명화 감독은 이의를 제기한다.

우선, 1946년 9월 이강국이 월북할 때는 남과 북 모두 정부가 수립되기 전이었다. 한반도가 하나의 국가가 될지 두 개의 국가가 될지 모르는 상태였다. 38선은 당시 미국과 소련의 군사상 분계선일 뿐이었다.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는 “따라서 이강국은 월경죄에 해당하고, 이를 도와준 김수임은 설사 범죄가 성립된다 할지라도 간첩죄가 아니라 범인은닉 도주방조 정도에 해당할 뿐이다. 사형 받을 정도의 혐의는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강국에게 담배와 커피를 보낸 것이 간첩혐의라 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기밀 아닌 기밀

김수임의 혐의 중에서 가장 큰 게 국가기밀을 빼돌려 남로당에 제공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김수임이 베어드로부터 국가기밀을 빼내 북한에 넘겼다면 베어드 역시 처벌을 면할 수 없다. 하지만 베어드 파일은 베어드에 대해 반역행위를 한 증거가 없다고 명시했다. 무엇보다 베어드는 국가기밀을 취급할 위치에 있지 않았다고 돼 있다. 하지 준장을 포함한 많은 미군 장교가 베어드 대령은 미군 철수와 관련된 기밀사안들에 관한 접근권한 자체가 없었다고 증언했다.

기소 사항인 ‘미군 철수 사실’과 ‘한국 경찰 무장’ 문제에 대해서도 베어드 대령은 “1948년 당시 미군 철수에 대해 어떤 정보도 갖고 있지 않았으며 1950년 미 대사관의 한 직원에게서 한국 경찰의 화기를 곤봉으로 대체해야 되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았으나 실행되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며 김수임에게 정보를 제공한 사실을 부인했다. 미군 지휘관들도 베어드 대령이 미군철수계획의 전모나 구체적 실행계획을 알 만한 위치에 있지 않았으며, 1948년 9월 철수개시계획이 무산된 이후 1949년 새 계획이 수립됐으나 유사한 정보가 일본에서 출간되는 ‘성조기’에 보도되는 등 충분히 예측 가능한 내용이었다고 증언하고 있다.

김수임은 법정에서 “박민호 등은 미 군정청에서 일을 하고 있어 자신들의 미래와 고용 여부를 걱정했기 때문에 베어드 대령에게 철수 계획에 관하여 물어보았고 그 정보를 친구들과 공유했다”고 진술했다.

기소 내용 중에 6개가 남로당 최만용이란 인물과 관련이 있다. 그는 김수임의 이부(異父)동생으로, 옥인동 19번지에 함께 살면서 미군부대 차량 운전수 노릇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김수임이 군 수사기관에 체포된 동생을 위해 석방자금을 대주고, 미군에서 나온 지프를 사도록 도와준 것이 간첩행위였는지 의문이다. 또한 그의 집에 불법무기를 은닉했다는 것도 남로당원이었던 최만용이 은닉한 것일 수 있다는 점에서 김수임의 간첩행위로 단정하기엔 무리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베어드 파일은 이강국을 월북시키거나 남로당 정치자금을 운반하는 데 미군 차량이 동원된 부분, 군용 지프가 김수임을 통해 남로당으로 흘러들어갔다는 내용 등에 대해 ‘입증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규정했다. 공산주의 활동을 위해 사용된 라디오와 기타 장비들의 불법적 운용과 관련해서도 베어드는 김수임과 육체적 관계를 갖는 대가로 이를 주는 등의 협약을 했다는 혐의를 부인했고, 미군 감찰관은 증거들이 혐의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적고 있다.

지긋지긋했던 고문

이는 기본적으로 용의자의 자백이나 주변 사람들의 증언에 전적으로 의존한 당시 한국의 수사관행과 철저한 물적 증거를 내세우는 미국 관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남북 간의 대립, 갈등이 전쟁으로 발전되는 당시 상황에서 김수임을 거물간첩으로 만듦으로써 반공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려는 목적으로 조작됐다는 의심을 낳는다고 AP통신은 주장했다.

그 증거로 베어드 파일은 김수임이 고문에 의해 강압적으로 혐의를 시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베어드 파일엔 “김수임으로부터 강압적으로 자백을 받았다는 증거는 없지만, 목격자 증언으로 볼 때 이 문제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되어 있다. 한국 자문단 대표였던 윌리엄 라이트 대령은 ‘김수임의 자백은 자발적인 증언이라고 하더라도 죽음을 늦추기 위해,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백했을 가능성이 있다’ ‘물고문은 보통이고, 전기 고문에 펜치까지 사용된 지긋지긋한 고문에 더 이상 견딜 수 없었을 것’이라고 증언했다.

AP통신 기자는 당시 검사였던 김태청 변호사에게 “그녀는 고문을 받았는가?”라고 묻자 “내가 아는 것이라곤 법정에서 일어났던 일뿐이다”라고 대답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김수임 관련 수사드라마를 집필했고 나중에 실화소설도 펴낸 오재호씨는 새로운 사실을 들려주었다.

“사건을 취재하던 중, 당시 수사경찰관으로부터 ‘김수임이 마지막 재판에 자백을 하기 위해 들것에 실려 법정에 들어왔다’는 말을 직접 들었다. 그 정도로 고문을 심하게 당했다는 것이다. 자백을 하지 않으면 또다시 고문실로 끌려갈 것이 두려워 김수임이 결국 모든 걸 포기하지 않았나 싶다.”

재판 절차도 의문으로 남는다. 민간인이었던 그를 군사법정에서, 그것도 3일 동안 연속해서 재판하고 마지막 날 사형을 선고했다. 군에서는 ‘국방경비법’ 33조 간첩이적행위 조항을 적용해 민간인인 그를 재판하는 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국방경비법은 법을 공포한 날이 미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미군정에서 만든 법이었으므로 영문으로 먼저 법을 만든 후 이를 한글로 번역했을 것이다. 따라서 영문으로 된 법령집과 한글로 된 법령집이 똑같이 있어야 함에도 이 법은 영문 법령집에는 없고 한글판에만 있다. 이에 대해 한홍구 교수는 미군정 말기에 법이 제정된 것처럼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법에 의해 목숨을 잃은 사람이 김수임을 포함해 1000명에 달했다.

베어드와 이강국

의문은 또 있다. 미 육군성은 베어드 대령을 조사한 후 ‘간첩동조 및 방조혐의’에 대해 무혐의 판결을 내렸지만, ‘한국인 정부와의 스캔들 때문에 미군 명예를 실추시킨 것’에 대해 군사재판에 회부할 것을 권고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한 달이 지나기도 전에 이 파일은 종결사건으로 분류됐다. 이 부분에 대해 AP통신은 ‘누가 이 재판을 저지했고 도대체 왜 그랬던 것일까’ 의문을 제기한다.

이 의문을 풀기 위해선 베어드와 이강국의 관계를 눈여겨봐야 한다. 이강국은 북한에서 열린 재판에서 자신이 미국에 고용된 간첩이었다고 자백한 것으로 되어 있다. 1935년 독일 유학을 마친 후 귀국하는 길에 미국에 들렀다가 미국 정탐부에 포섭됐으며, 김수임을 이용해 1946년 6월 베어드를 만나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는 것이다. 또한 “1946년 9월 베어드의 지시로 애국자로 위장하여 북한에 올라가 1948년 5월까지 5차례에 걸쳐 베어드에게 매우 중요한 기밀을 제공했다” “베어드가 내게 ‘김수임을 남로당과 연계해달라’고 해 이승엽을 소개해주었다”고 진술했다. 이강국은 1948년 실각하면서 더 이상 김수임과 연락할 수 없게 됐고, “1948년 8월 이후에 김수임은 이승엽과 연계된 것으로 보인다”고 진술했다.

이게 사실이라면 이강국이 김수임을 통해 남한의 정보를 수집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베어드가 김수임을 통해 북한 정보를 수집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김수임이 재판에서 최만용과 박민호 등이 남로당원이었지만 동시에 미군정 첩보원이기도 했다고 진술한 것을 보면, 이 주장은 제법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해방전후사를 전공한 고지수 현대사자료실 연구원에 따르면 당시 미군정에서 대(對)남로당 첩보원들을 두고 있었는데 이런 사실을 모르는 한국 검경에 의해 공산당으로 분류돼 붙잡히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즉, 국내 검경은 김수임이 미군정의 북한정보원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수사를 하고 구속, 사형까지 끌고 간 것일 수도 있다.

김수임 검거에 결정적 영향을 준 것은 남로당에서 활동하던 양한모(본명 홍민표)가 1949년 전향하면서 남로당 조직을 대거 밀고한 사건이다. 당시 150여 명의 남로당원이 일망타진됐는데, 여기에 김수임이 포함됐다. 김수임 사건 담당검사였던 고(故) 오제도 변호사도 자신의 수기에서 “김수임이 검·경·군 합동수사분실의 수사망에 걸려든 것은 1950년 2월 말이었다”고 회고했다.

이에 대해 조 감독은 “이강국이 미국의 간첩이고, 김수임이 이강국과 베어드의 연결고리가 되려면 베어드는 군 정보 관계자여야 한다. 그런데 당시 한국정보팀을 담당했던 사람은 쉴리 소령이었고, 쉴리 파일에서 한국 관련 정보들이 발견됐다. 베어드 파일에선 어떤 정보도 나오지 않았다. 물론 아직 아무도 열람하지 않은 당시 한국관련 자료와 서류들이 미국 문서보관소엔 쌓여 있다. 거기에서 어떤 자료가 나올지 모르지만, 현재로서는 베어드가 정보 일을 했다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조심스럽게 이강국과 베어드의 연관설을 부인했다.

JACK와 CIC

이강국이 베어드에게 고용된 정보원(또는 간첩)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미국에 고용된 간첩 혹은 정보원이었다는 기록이 최근 발견됐다. AP통신은 1956년 작성된 미 육군 극비자료 프로필에 이강국이 CIA에 의해 ‘JACK(한국합동공작단, Joint Activities Commission, Korea)’에 고용됐으며, 실제로 1953년 6·25전쟁 휴전 직전에 ‘미군 첩자’로 북한에서 처형됐다고 적혀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강국이 실제 미군과 연결돼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고 부연했다. 이 파일엔 “1953년 11월 보고에 따르면 이강국은 일본 동경도 차기구 내 JACK에 고용된 것이 확인됐다(A report of nov 53. stated that Yi was employed by JACK in Chagi-ku, Tokyo-to, Japan)”고 돼 있다. 여기엔 고용됐다고만 되어 있을 뿐 언제 어떻게 되었고, 어떤 활동을 했다는 언급은 없다.

이강국이 미국 간첩일 수 있다는 근거는 2001년 발견된 문서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여기엔 이강국, 임화, 이름이 기록되지 않은 남로당 선전부장 등이 미군정 산하 주한미군방첩대(CIC·Counter Intelligence Corps)에 포섭된 정보원이라고 돼 있다.

물론 이 기록들에 의심의 여지는 있다. CIA는 1947년 7월에 설립됐다. 따라서 산하조직인 JACK 역시 그 이후에 만들어졌을 것이다. 이 기구는 6·25전쟁 시기에 활약했고, CIA 일본지국의 지휘를 받았다. 그러나 이강국이 월북한 것은 1946년 9월이었다.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또한 CIC와 이강국의 관계도 당시 정황에서 ‘간첩’으로 단정짓기는 어렵다. CIA의 전신인 OSS와 협력했던 아시아공산주의자 명단엔 마오쩌둥, 호치민 등의 포함돼 있을 정도로 당시 동아시아 공산주의자들은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구축했었다. 특히 남로당 고위급 인사였던 이강국이 미군정과 비선(秘線)을 가지고 있는 것 자체가 특기할 만한 일로 보기는 힘들다는 게 학계의 이야기다.

조명화 감독은 이강국의 간첩혐의 의혹에 대해 이런 추측을 내놓았다.

“이강국이 미국의 도움을 받으려 했다면 이유는 하나일 것이다. 당시 지식인들이 원하는 국가는 통일국가였다. 그런데 북한은 이미 김일성이 정권을 잡고 있었다. 그런 상태에선 남한만의 정부를 만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회주의자인 이강국으로서는 투쟁지역이 남한이 아닌 북한이 돼야 한다. 이강국은 북한에서 사회주의 투쟁을 하기 위해 북한에 안착할 방법을 찾았고, 미국의 도움을 얻었을지도 모른다. 아무튼 이강국이 미군에 고용된 간첩이든, 미군과 협력관계였든 미군과 연계돼 있었다면 김수임에게 간첩죄는 성립되지 않는다.”

치열한 삶을 산 여자

김수임이 간첩이냐 아니냐를 떠나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김수임은 이념에 무지한 채 한 남자에 목숨을 걸었거나, 아무 것도 모르고 두 남자에게 이용당한 무지하기만 한 여성이었느냐는 것이다.

모윤숙의 에세이에 보면 모윤숙과 이강국이 ‘이승만을 어떻게 볼 것인가’를 놓고 격론을 벌이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서 김수임은 이승만을 비판하며 “자본주의자인 이승만이가 미국에 한국을 팔아먹을지도 모른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또한 재판 최후진술에서 “나로서는 일생일대의 잊지 못할 사랑이었다. 나를 위해 힘써준 분이 여럿 있고 애인도 있지만, 그분들을 위해 나로서는 당연한 일을 했고 후회하지 않는다. 죽기 전에 감사하다는 말을 한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자기 생각을 갖고 자기 신념대로 행동했다는 이야기다. 조 감독은 “지금까지 김수임에 대한 시각이 반공 이데올로기, 또는 ‘버림받은 여인’이라는 남성중심 관점에 머물러 있었다”며 “김수임은 ‘일과 사랑’을 통해 시대를 치열하게 살다 간 인물이었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김수임을 바로 알기 위해서는 시대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946년 미군이 여론조사를 했는데, 남한 주민 77%가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바랐다. 이들이 말한 사회주의는 지금의 사회주의와는 다르다. 제국주의와 봉건제도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회주의를 생각한 것이다. 일제 강점기 때 일제에 반대하는 운동을 주로 했던 게 사회주의자들이었다. 국민은 자유민주주의가 뭔지도 모를 때였다. 김수임도 일제에 반대하고, 봉건제도에 반대하는 의지가 강했다. 그게 사회주의 사상으로 표출된 것이다.”

그러나 미 군정청의 하지 준장은 그 같은 여론조사 결과의 이면을 무시했다. 사회주의자들을 탄압하고 친일파 관료를 등용했다. 이것이 바로 김수임이 빠져든 역사의 함정이요 딜레마였다고 조 감독은 말했다.

진실과 화해

김수임 사건은 현재도 역사의 미제(未濟)로 남아 있다. 몇몇 학자나 아들인 김원일 교수, 조명화 감독 등 개인들의 노력만으로는 진실을 밝혀내기엔 한계가 많다. 이런 사건의 진실을 밝히라고 만든 게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다. 그런데 2005년 12월 출범한 진실·화해위원회는 출범 직후 1년 동안만 사건 신청을 받아 지금은 그 기간이 지났다.

김원일 교수는 당시 이런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그는 “이제라도 아들 자격으로 진정서를 제출하는 게 어떠냐”는 한 언론사의 e메일 질문에 “역사와 화해하고 역사를 바로잡는 것은 그 의무를 위탁받은 위원회의 역사적 과제이지 유가족이나 친지의 개인적 과제는 아니라고 본다. 위원회의 판단과 역량을 믿고 지켜보는 것이 내가 서 있어야 할 가장 적절한 자리”라며 자신이 나설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진실화해위원회 측은 “신청기간이 지났기 때문에 이 사건에 대한 진정을 받거나 하는 것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다만, 최종결정기구인 전원위원회에서 직권조사하기로 결정하면 조사에 착수할 수는 있다. 현재까지는 그런 결정이 내려지거나, 논의할 계획이 서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최호열 기자 honeypapa@donga.com

Friday, October 24, 2008

Q & A on TRC

Q1. It seems that the mission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Korea is quite different than previous transitional justice efforts (such as the Presidential Truth Committee on Suspicious Deaths), due in large part to the emphasis on reconciliation.
A1. The correct title for the commission mentioned in the parenthesis above is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in the Military.” As indicated in its name, there’s a clear distinction in its scope of investigation compared to our commission. It only deals with cases in the military, while our commission deals with overall human rights abuses beginning during Korea’s democratization process to the end of the authoritarian regime of 1992. Additionally, there was also a commission named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which ceased its investigative activities on June 30, 2004. (Please see our website at http://jinsil.go.kr/English/index.asp On the bottom right side, you will find the button titled, "Former Truth Commissions.") The other commissions in Korea involved in related truth-finding work investigate distinctive areas covering either different time periods or different sectors of society. Although there are several other past-related commissions in Korea, they are quite different from our commission in terms of their mission and objectives. We believe truth-finding work is an initial step to reach a possible reconciliation. Without it, the achievement of reconciliation would be practically impossible. All of the above-mentioned commissions are dedicated to uncovering the truth from past wrongdoings. In this sense, they share the same qualifications to investigate cases for reconcili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goal of all truth-finding activities.
Q2. To what extent is reconciliation a goal of the TRCK? and what mandate does the TRCK have?
A2.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Korea does not have any authority to prosecute or provide economic compensation to victims, but it has some rights to investigate filed cases, and submit recommendations to the concerned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commission must also submit investigation reports to the President and the Parliament twice a year, and afterwards, report its findings to anybody interested. As commented above, we believe truth-finding is the first step toward reconciliation. Although the commission doesn’t have direct authority to prosecute, petitioners are still empowered by using the commission’s findings for judicial settlements; often resulting in some kind of compensation.
Q3. How is reconciliation pursued (Truth-telling? Apologies from perpetrators? Reparations from the courts?)?
A3. You understood correctly. Measures below are used to seek reconciliation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1. Listening to the victims' narratives and truth-telling through commission’s investigative reports, 2. Recommendations to public authorities to give formal apologies to victims, 3. Recommendations of new retrials to the court and judicial settlements, 4. Restoration of honor to the victims by submitting recommendations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conducting memorial services, etc. 5. Recommendations for revisions to modern history by accepting the newly-verified truth of the commission.
Q4. I have read the TRCK's 2008 brochure, which does a good job at laying out the framework of reconciliation. I would just like to have some additional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the TRC,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terms of reconciliation efforts. I am trying to pin down if the TRCK is a turning point in transitional justice in Korea in regard to reconciliation. Could you direct me to previous efforts at reconciliation in South Korea (in the post-military regime period)?
A4. The investigative scope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Korea largely covers three different areas: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mass civilian sacrifices before and during the Korean War, and human rights abuses during Korea’s democratization. There were previous efforts to seek truth and settle past wrongdoings. In 1948, a special law was passed to prosecute Japanese collaborators during Japan’s colonial regime, yet it was annulled in 1951; this law is largely acknowledged as unsuccessful and a large number of those accused of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occupational government were never brought to trial. Secondly, in the political vacuum after the fall of Syngman Rhee in 1960, the victims' families of the Korean War protested to demand settlement for their grievances.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responded by investigating the massacres. However, after the May 16 Military Coup of 1961, the military oppressed those activities and abolished further investigation. Many even prospered during the U.S. occupational government, the military dictatorships, and to this today.
Although,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s in Korea, little attention was given to the truth-finding work in the governmental arena, there were constant movements among civil groups and the public dedicated to rectifying past incidents;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e Student Demonstration at Konkuk University in 1987, etc. These are good examples of how people and civil groups continued to pursue the truth even under severe authoritarian repression. In 1995, a valuable lesson was proven with the prosecution and sentencing of two former authoritarian rulers of Korea, Chun Doo-hwan and Roh Tae-woo; even successful coups can be punished. The laws for rectifying the past have been passed under the Korea's government under Kim Dae-jung (1998-2003). The systematically implemented truth-finding work at the governmental level only began when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took office.
Q5. What is the level of truth that the TRCK is trying to achieve? Would you say it is more of a narrative-truth or legal truth (beyond a reasonable doubt)?
A5. Could you define “narrative-truth” and “legal truth”?
Q6.I saw on the website that an MOU was recently signed with Chile in the area of transitional justice. Congratulations! What other nations has the TRCK worked with or looked to for guidance? Are there any other nations that the TRCK or Korean government has formal agreements with in the realm of transitional justice?
A6. Many other countries also share similar stories that Korea has, and thus leaving responsibilities of settling the past to all. Not to mention the countries involved in the I and II World Wars, there still are plenty of countries out there to look for exemplary stories in regard to truth-finding works. Among those, we can easily look to cases from South Africa, Chile, Argentina, Peru, Rwanda, Cambodia, Indonesia, Spain, even Canada and the U.S. Our commission tries to build an international alliance in relations to make truth-finding process soother for respective nation. Currently, we’re working toward developing an MOU with Argentineans.
Q7. In terms of the proposals for a special pardon, reinstatement, or reduction of penalties, how often are these proposals honored and/or accepted?
A7. The TRCK is only empowered with submitting recommendations in accordance with its findings.
Q8. How does the TRCK pursue reconciliation between offenders, victims, and victims’ families? Was this a part of the mandate of past truth commissions in Korea?
A8. Through recommendations, the TRCK has assisted to bring about formal apologies from the government, retrials on previous judicial cases, documentation of historical records, memorial services, and etc.
Q9. What are some examples of legal and political reconciliation measures for offenders? What are some examples of measures for national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A9. After completing each investigation, the TRCK concludes whether the truth was found or not. Every investigation report includes recommendations to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is ultimately the responsible party for most of the cases filed at the TRCK). Common recommendation measures include official apologies from the government, retrials, memorial services, and education on human rights and sustainable peace, etc.
Q10. In your opinion, would you say that the State has shown respect for TRCK proposals and decisions to this point? Are there any guarantees of this?
A10. To implement its recommendations, the TRCK submits its findings to the Recommendations Follow-Up Board of the TRCK, which is under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s of May 2008, a total of 49 findings from the TRCK were submitted to the Recommendations Follow-Up Board of the TRCK.
Q11. Has the Reconciliation Foundation been established yet? If so, what services and exhibitions have been held?
A11. The Reconciliation Found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The TRCK is currently working towards this, and expects to see the draft by March 2009.
Q12. What is the role of the Reconciliation Commission? Is there any information as to the scope, power, and organization of this proposed body?
A12. The Reconciliation Commission was constituted on June 19, 2007, in order to deliberate and resolve measurements concerning restoring honor to victims, issuing special pardons for the victims, recommending reinstatements, preventing similar cases from reoccurring, and etc.
Q13. Some argue proceeding truth-finding works only disrupts the social unification and deepens the conflicts between parties, which do not consent one another.
Main purpose of truth-finding task includes healing the pains from wrongly written past through unearthing truth, which has been covered and eventually, and eventually attempting reconciliation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According to the survey conducted by SISA JOURNAL, a monthly political magazine in South Korea, in February, 2008, 61.8% of total respondents said they felt necessary the truth-finding works to be completed, thereby setting a better standard for the future. 29.4% responded it only produces social disorientation and is not necessary.

Q14. Recently, there seem to be an attempt to combine the existing commissions involved in truth-finding works, and merged to the TRC. Where the TRC stands and what would be expected problems if so?
January 21, 2008, the Grand National Party of Korea submitted a draft outlining a merge of several truth-finding commissions into the TRC.
There are a few expected problems in this regards.
First, there are distinctions between the TRC’s mandates and the mandates of those 9 truth-finding commissions. The TRC extensively deals with investigations to find truth by a group, while the other commissions are rather focus on individual cases of reparation, building memorial monuments, restoring honors of the dead.
Second, if the merge proceeds, it is expected that petitioners at the TRC would ask for economic compensation and/or memorial services/moments which were promised in the precedent commissions, which may cause great confusion in maintaining consistency for the TRC.
Third, the TRC is already overloaded with a total of 10,954 petitions; only 29% thereof, 3,182 were concluded, and its mandate to be expired in 2010. Adding more cases to the TRC without guaranteeing adequate resources will apparently only increase improbability of tasks of the TRC being completed within the designated term, by 2010.
Fourth, recentl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releas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bill or similar sorts of sufficient legislatorial prerequisites to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draft.

Wednesday, October 22, 2008

Blind Man Passes Bar Exam for 1st Time Ever

It's quite surprising to learn there haven't any visually impaired law expert in Korea since 1947. Many would've sensed, if staying long enough, Korea is not quite fondly place for minorities, and not exceptions for physically/mentally challenged personnel. This year, one visually challenged law student passed the national bar exam and about to become the first lawyer of that sort.

-------------------------------------------------------------------------------
A visually impaired man has passed the second round of state-run bar exam for the first time since it was instituted in 1947. The Ministry of Justice announced Tuesday, that Choi Young, 27, made the list of successful candidates on the test.

Choi who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passed the first round of the exam last year. If Choi passes the final interview sessions, scheduled Oct. 18-21, he will be the first-ever blind lawyer in Korea. The ministry will disclose the final result on Oct. 28. Choi lost his sight when he was a high school senior.

Additionally, the bar exam saw a record high number of women among successful applicants in the second round are 384.

The ratio of the women has continued to increase to some 38 percent of the total 1,005 from 37 percent in 2006, 32 percent in 2005 and 24 percent in 2004.

Among the successful candidates, more than 80 percent majored in law.

kswho@koreatimes.co.kr

진실화해위원회는 “스페인 과거청산 과정과 ‘역사적 기억법’ 제정의 의미”를 주제로 스페인 과거사정리 전문가 초청 강연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스페인 과거사정리 전문가 훈코(Jose Alvarez Junco) 교수를 초청하여 9월 29일 오후 2시 진실화해위원회 12층 대강당에서 개최하였다.
훈코 교수는 스페인 대통령부(Ministry of the Presidency) 정치ㆍ헌법학센터 의장으로 있으면서 오랜 논란과 시행착오를 거치며 진행돼 온 스페인의 과거사 정리를 위해 2007년 12월

만들어진 「역사적 기억법」을 기초하고 의회에 제출한 책임자이다.
이번 초청강연에서 훈코교수는 스페인 내전과 그 당시 프랑코 독재 권력 하에서의 스페인 상황, 그리고 프랑코 사후인 1975년 이후부터 어떻게 오늘날까지 스페인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졌는지 이행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다.
스페인은 1975년 프랑코 사망 이후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내전(Guerra Civil:1936~39)과 프랑코 독재 통치기간(1939~75) 동안 발생한 학살, 인권유린 등 민간인 희생에 대해 보상 및 화해와 관련한 여러 방안들이 검토됐으나, 국론분열이나 독재체제로의 회귀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불행한 과거를 잊어버리자는 이른바 망각협정으로 국민적 화해를 시도하였다.
그 후 피해자 및 유족,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프랑코 독재기간 중 발생한 수 많은 범죄행위의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유해 발굴과 희생자의 신원을 밝히려는 노력, 관련법 제정 운동 등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2007년 12월 스페인은 프랑코 사망 33년만에 그동안 묻혀있던 과거사의 진실을 밝혀내기 위한「역사적 기억법」제정에 합의하고 진실규명 활동에 나서게 되었다.
‘스페인 내전과 프랑코 정권의 희생자들에 관한 법안‘을 주제로 열린 이번 강연은 과거사문제 해결을 위해 그간 스페인 사회가 겪었던 진통과 경험담을 공유하고, 「역사적 기억법」법안 제정 과정과 의미, 향후 계획 등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과거사 정리에 대한 시사점 및 교훈을 얻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사회 주류로 가는 ‘마중물’ 되고파; 오바마 캠프 첫 한인 정책대리인 김대용씨

매케인후보 대리인과 일진일퇴 정책토론
이민2세로 2년전 오바마와 만난 뒤 후원

버락 오바마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캠프에서 후보를 대신해 정책대결을 벌이는 대리인으로 한국인이 처음 임명됐다.

화제의 인물은 공식 직함이 ‘오바마를 위한 동부지역 아시아연대 회장’인 김대용(32·미국 이름 라이언 김·사진)씨다. 김씨는 20일(현지시각) 오전 뉴저지주 엘리자베스의 베네딕트 아카데미에서 학생과 교사, 학부모 등 200여명이 참석한 토론회에서 오바마 후보 대리인으로 나서 정책 토론을 벌였다. 이날 존 매케인 공화당 후보 쪽 대리인인 폴 런드 프리메리카(재정상담회사) 부사장이 “국민의 40%가 세금을 내지 않는 상황에서 오바마가 공약을 실행할 재원을 충분히 만들어낼지 의문이다”라고 공격하자, 김씨는 “오바마가 ‘계급 투쟁’을 만들어내려는 것도, 부유층을 불공평하게 공격하자는 것도 아니다. 워런 버핏도 25만달러 이상 소득 가정의 세율을 올려야 한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반박했다. 김씨는 다음주에 열리는 중국계 대상 토론회에도 정책 대리인으로 나갈 예정이다.

한국에서 고등학교 3학년을 마치고 부모를 따라 미국에 이민 온 김씨는 버클리대에서 경제·통계학을 복수 전공하고, 뉴욕대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김씨는 2006년 뉴저지 유세 때 오바마를 처음 만난 뒤 “개인적으로 매력을 느껴” 그의 후원활동에 나서고 있다. 두 달 전에는 졸업 뒤 다니던 맨해튼의 일본계 은행도 그만뒀다. 김씨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지난해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을 위해 자원봉사를 할 때 의회에서 한인 커뮤니티를 대변하는 사람이 없어 아쉬웠다”며 “아시아인과 친근한 오바마 후보와 연결고리를 만들어 한인들이 미국 사회에서 주류로 진출할 수 있는 통로 구실을 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오바마는 선거자금 모금행사에 참석한 김씨를 만나 성이 ‘김’이라는 소개말을 듣고 바로 우리말로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를 해 그를 놀라게 했다. 오바마가 한국과 인연을 맺은 것은 동생 마야 소에토로-응(38)을 통해서다. 마야는 오바마의 어머니가 인도네시아인과 재혼해 낳은 딸로, 한국의 ‘단’을 배우고 한국인들과 가깝게 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오바마와 마야는 하와이에서 자랄 때 한국 음식을 자주 먹기도 했다.

김씨는 “오바마가 요즘 자신감이 많이 생긴 것 같다”며 “그는 사회활동 시절에 풀뿌리 운동을 하면서 자원봉사자에 대한 애정이 많아 이번 선거운동에서도 자원봉사자 역할이 확연히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사진 김대용씨 제공

Tuesday, October 21, 2008

NKorea defectors drop leaflets condemning leader

By KWANG-TAE KIM – 6 days ago

YEONGJONG ISLAND, South Korea (AP) — The North Korean trembled when he spotted the leaflet that had fluttered down from a balloon dispatched from the South. He snatched it, stuffed it into his pocket and ran to the bathroom to read it.

Park Sang-hak says he read that slip of vinyl — which bragged about the good life North Korean defectors were enjoying in South Korea — more than 15 times in disbelief.

Fifteen years later, Park is on the other side of the border. He defected to South Korea in 1999 and now helps launch propaganda balloons filled with leaflets denouncing the Stalinist regime.

The 40-foot balloons — fueled by hydrogen and shaped like missiles — are the most direct way to reach people living in one of the world's most isolated nations. Few North Koreans have access to cell phones or the Internet, and millions have no way of getting in contact with relatives living in South Korea.

For decades, the rival Koreas waged a fierce ideological battle using leaflets, loudspeakers and radio broadcasts across the heavily fortified border. At the height of the propoganda war, South Korea's military loudspeakers blared propaganda 20 hours a day, according to an official from the psychological unit of the South Korean army. He spoke on condition of anonymity, saying he was not authorized to speak to media.

But then the two Koreas embarked on a path to reconciliation that led to the first landmark summit between their leaders in 2000. They agreed in 2004 to end the propaganda.

Still, activists and defectors continue to send balloons filled with leaflets across the border, despite pleas from Seoul to stop at a time when inter-Korean relations are at their lowest point in years. The activists hope to spark a rebellion to overthrow Kim Jong Il.

Last week, the North threatened to expel South Koreans working at two joint projects north of the border and warned of "new military clashes" if leaflets criticizing Kim — an illegal offense in North Korea — continue.

South Korean Unification Ministry spokesman Kim Ho-nyeon said there are no legal grounds for prosecuting those who send leaflets, citing freedom of expression.

Park, 40, says he's an ardent advocate of the propaganda campaigns.

"I am trying to tell the truth to North Koreans who do not even know they are living under dictatorship," Park said Friday after releasing a balloon from a small fishing boat off Korea's west coast on the 63rd anniversary of North Korea's ruling Workers' Party.

The black-and-white leaflets urge North Koreans to rise up against Kim Jong Il.

"Kim Jong Il is the most vicious dictator and murderer of the 21st century, not the sun of the 21st century," the flyer reads. "Let us end Kim Jong Il's hereditary military dictatorship and liberate North Koreans."

Also featured on the leaflet: a diagram of Kim's alleged romantic relationships, including his wife and eight other women and their children — a tactic designed to encourage traditional North Koreans to question their leader's morals. The organizers did not say where they the obtained information.

Some leaflets contain $1 bills or 10-yuan notes from China (worth $1.50) — an amount believed to surpass the average monthly wage in North Korea.

To prevent people from reading the leaflets, Pyongyang warns citizens: "If you pick up this pamphlet, it will burn your hands," said Suzanne Scholte, chairwoman of the North Korea Freedom Coalition in the U.S., citing accounts from North Koreans who defected to the South last month. Her group helped finance the launch of 10 balloons Friday.

"There is nothing more powerful than North Koreans living in freedom reaching out to North Koreans living in slavery," said Scholte, who received the Seoul Peace Prize earlier in the week.

One defector, writer Kang Chol-hwan, said the leaflets serve as a wake-up call to North Koreans who are brainwashed to believe they live in a paradise.

"South Korea's leaflets show North Koreans that they can live well in the South," Kang said. "Leaflets and outside radio programs together are what prompted me to defect to the South" in 1992.

In an interesting twist, it was a photo of Kang that was printed on the very first leaflet Park Sang-hak saw and read furtively in 1993.

Park says he had been taught at school that Kang and another man pictured on the leaflet were executed after being caught trying to flee the North. But the photo on that leaflet showed that Kang, who later wrote a best-selling memoir, "The Aquariums of Pyongyang" about his childhood in a North Korean prison camp, was alive and well in South Korea.

"I was so shocked," Park said. "I knew that the Workers' Party lied, but how could they have gone that far?"

Now, Park says he and the two fellow defectors pictured on that leaflet are all South Korean citizens — and good friends.

On the Net:
http://www.defenseforum.org

Monday, October 20, 2008

Judge Baltasar Garzon's Narration on Universal Human Rights

Speak Truth to Power: Human Rights Defenders Who Are Changing Our World. From: Cuomo, Kerry Kennedy. New York: Crown Publishers, 2000 (pp. 126-131)

The combination of the responsibility I was taught in the seminary, which was a responsibility learned through discipline, and the work I was taught at home through freedom, was a wonderful combination.
I wanted to be a missionary, and to work for social justice, for the benefit of other people, but after a time, I realize that I might not be able to cope with all the restrictions of being a priest. So I opted for law instead.

I have received many death threats, but you get used to it. Threats have never changed my mind Despite the pressures, it is very clear to me that I have a job to do. The rest is peripheral. I can't allow these things to change my life. I am voluntarily where I am. These problems are included in the job description.

…I accept the responsibilities of my actions. Because what you cannot do is what many people do, you cannot pretend that these problems are not your problems. I believe that a judge must live in society, must deal with the problems in society, and must deal directly with the problems of society, must face them. We have good, strong law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Yet nobody seems to apply them.

Mass viol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must be universally persecuted. International human rights have universal jurisdiction. The issue is whether you want to apply international law or not-you can either apply the law or shy away from it.

Being a judge is not a calling; its something much simpler. The only thing is that you just have to do your job right, that's it. If a case comes to you, you can ask some simple questions and apply the law-and you are doing legally what a judge must do.

Courage means to be honest with yourself and to able to overcome the fear that you have…. Perhaps the biggest fear is the fear of making mistakes.

Judge Garzón: Introduction to a Life

Baltasar Garzón has been a judge in Spain since 1980 when he was only 24. In his 12 years on the bench he has prosecuted cases ranging from organized crime to terrorism and government corruption as well as "crimes committed outside Spain but where the Spanish are competent to try them- such as genocide and torture, as in the cases of Argentina and Chile…" (1) Of middle class farming origins, Garzon spent several years in the seminary studying for the priesthood in his native Andalucia. After leaving his religious studies, he attended law school at the University of Seville where he completed his degree in 1978 just as Spain began its transition to democracy.
His judicial career was interrupted briefly during 1993-1994 when he served in the Spanish Cortes (the legislature's lower house), having won a seat for the Socialist Party (PSOE). Disillusioned by the lax policies of Felipe Gonzalez (Spain's Socialist Premier from 1982-1996), Garzon quit his congressional post and returned to his judicial origins. He then brought corruption charges against several of Gonzalez's associates, in many ways precipitating the Socialist's fall from power.

Perhaps it was expected that with the Conservative Party (Alianza Popular) coming to power in 1996, Garzon might fade into the distance. But he had already turned his attention to another front, this time against Argentina's military leaders of the 1970's guerra sucia, or dirty war, which saw between 13,000-15,000 citizens killed. Ridiculed by Argentine authorities, Garzon continued his investigations into human rights violations of Spanish citizens at the hands of Argentina's military junta.

He was not deterred by either ridicule or disbelief from the press. After all, it was not the first time he had encountered this type of attitude. Back in 1990 he had led Operation Necora, "a sting that involved 54 men and women suspected of working for the country's biggest drug lords. With the help of a dealer who turned state's evidence, Garzon expected long prison sentences for members of the network." (2). The courts, feeling there was a lack of evidence, handed out short prison terms or, in some cases, acquittals.

In late 1998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startled to find out that Judge Garzon had issued an order of detention against Augusto Pinochet while the former Chilean dictator (1973-1990) was in London undergoing medical treatment. The famous "Caso Pinochet" continues, now in the Chilean courts after British authorities allowed Pinochet to return to Chile. Garzon's bold steps in trying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has established precedent against heads of state who may now be tried for crimes like torture and genocide, which are no longer considered to be covered by sovereign immunity.

Victims of Spanish civil war to be exhumed

A crusading judge said he would investigate the disappearance of tens of thousands of Spaniards during the civil war, in the country's first official inquiry into one of the darkest chapters of its history. Baltasar Garzon ordered the exhumations of 19 mass graves dating from the 1936-39 conflict and Francisco Franco's subsequent dictatorship, including that of the country's best loved poet, Federico Garcia Lorca.


Judge Garzon's controversial decision defies decades of opposition by conservative politicians and state prosecutors who argued that any civil war crimes expired under an amnesty law of 1977. But the judge countered yesterday that Franco conducted a systematic campaign to eliminate opponents and hide their bodies. Such "illegal, permanent detention without disclosing [victims'] whereabouts" constitutes grounds for a crimes-against-humanity case which Judge Garzon says has no statute of limitations.

"Any amnesty law which aims at erasing crimes against humanity that cannot be described as political crimes, is null," said Judge Garzon. He names Franco and 34 late wartime generals or members of his government as instigators of the campaign.

The groundbreaking decision responds to years of campaigning by those who still mourn relatives who died in the conflict, whose bodies were never recovered or given a proper burial.

"It's very exciting because I think it's about time this country recognised the suffering of these people and started something that, 70 years after the events, could be considered as justice," said Emilio Silva, head of the Association for the Recovery of Historic Memory. The organisation represents families seeking to recover relatives buried in mass unmarked graves throughout Spain.

The names of more than 130,000 people who disappeared during the civil war were handed to Judge Garzon last month by church and human rights groups. Many victims were executed without trial and tossed into mass graves during the war and Franco's subsequent rule.

Among the 19 graves Judge Garzon ordered to be opened is that of Gabriel Garcia Lorca, who was shot in August 1936 by fascist death squads, and then buried in rough ground outside the city of Granada. "I am so happy. I've been waiting 10 years for this moment,"said Nieves Galindo, whose grandfather, Dioscoro Galindo, was another Franco opponent shot and buried alongside Lorca.

For years the Lorca family said they did not want the site disturbed. But last month, in a historic change of heart, they said that, if relatives of those buried with him wanted to open the grave, they would not object.

Judge Garzon's ruling will enable relatives of victims buried in mass graves to establish the circumstances of their deaths, in what campaigners hailed as a necessary step towards healing wounds caused by a conflict that continues to divide Spain.

They say that since Judge Garzon pursued human rights crimes committed by military rulers in Chile and Argentina, he should do so in his own country. The judge is renowned internationally for his attempts to extradite the Chilean dictator Augusto Pinochet from Britain in 1998 to face trial in Spain for human rights crimes.

Lorca: poet of Spain

Federico Garcia Lorca has been described as a man ahead of his time, living in a Spain that was going backwards. He was born on 5 June 1898, in the village of Fuente Vaqueros in the province of Granada. Lorca grew up to be a prolific poet and playwright and a restless traveller. "I sing to Spain and I feel her to the core of my being, but above all I am a man of the world and brother of everyone," he said. His best-known plays include Blood Wedding (1933) and The House Of Bernarda Alba (1940).

By Elizabeth Nash in Madrid
Friday, 17 October 2008

Spanish judge to probe Franco-era disappearances

3 days ago

MADRID (AFP) — Spain's leading judge Thursday agreed to investigate the disappearances of tens of thousands of people during the 1936-39 civil war and the ensuing Franco dictatorship, many of whom are believed to be buried in mass graves.

Baltasar Garzon ordered the opening of mass graves in 19 locations, including one near the southern city of Granada that is believed to contain the remains of poet Federico Garcia Lorca, who was shot by supporters of General Francisco Franco in 1936.

The decision comes in response to a petition by associations representing families of the missing, who asked that the bodies of their loved ones be located and the circumstances of their deaths clarified.

The associations earlier this month presented the judge with a list of 133,708 people who disappeared during the civil war and the Franco dictatorship, which lasted until his death in 1975.

Garzon said Thursday he would investigate the disappearances of 114,266 people on the list, who went missing between July 17, 1936 and December 1951.

The judge, who has investigated the crimes of dictators in Argentina and Chile, also called for the death certificates of Franco and 34 officials of his regime to rule out any criminal prosecutions against them.

And he asked the interior ministry to identify the top leaders of the far-right Falange organisation, which supported Franco, with a view to possibly filing charges against any still alive.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is to appeal against Garzon's decision, on the basis that any crimes committed are covered by a 1977 amnesty law, and that the judge is not "judicially competent" to investigate the disappearances, the source said.

However, Garzon said in his ruling that "any amnesty law that seeks to whitewash a crime against humanity ... is invalid in law."

Families of the missing welcomed Thursday's ruling and the Spanish branch of Amnesty International hailed it "as a sign of hope for many families."

Historians have estimated that about 500,000 people from both sides were killed in the civil war, which was sparked by Franco's insurgency against the democratically elected left-wing Republican government.

It is believed that after Franco's victory, around 50,000 Republicans were executed by Nationalist forces.

While the regime honoured its own dead, it left up to 30,000 of its opponents buried in hundreds of unmarked graves across the country, according to victims' rights associations.

In 1977, two years after Franco's death, all political parties agreed to put the civil war and the dictatorship behind them, and Spain granted an amnesty for crimes committed under the general's iron-fisted rule.

But in recent years the "pacto de olvido" (pact of forgetting) began to crumble, as associations emerged seeking to recover the remains of those shot and thrown into unmarked mass graves.

Their drive got a boost in 2007, with parliament's approval of the Law of Historical Memory which, for the first time, recognized the victims of the civil war and dictatorship.

The law obliges local administrations to cooperate in the search for victims of the Franco regime. It also requires statues, plaques and other symbols of the dictatorship to be removed from public buildings.

Garzon's decision "makes me happy and sad," said Emilio Silva, head of the Association for Historical Memory, which is fighting to rehabilitate the victims of Franco.

"Happy because it is positive, in this country which has been so unfair to the victims, after 30 years of democracy.

"Sad because there are many people who have died in the last 30 years of democracy," he said, referring to victims of retributions against the Franco regime.

At Last, Spain Faces Up to Franco's Guilt

Germany had the Nuremberg trials. Italy took justice into its own hands by executing Mussolini and hanging him upside down in Milan's Piazzale Loreto. France prosecuted its Vichy collaborators in a series of contentious trials that stretched into the 1990s. On Oct. 16, it was finally Spain's turn. Spanish dictator Francisco Franco died 33 years ago, but it was only this week that Judge Baltasar Garzón of the National Court declared him and his cronies guilty of crimes against humanity and authorized a long-awaited investigation into their misdeeds.

"It's an extremely important moment," says Emilio Silva,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for the Recovery of Historic Memory, which filed the judicial complaints on behalf of victims of the regime. "In 30 years of democracy, this is the first time the State has condemned the dictatorship."

Following Franco's death in 1975, Spaniards tacitly agreed to a 'Pact of Silence' that covered over the wounds of the 1936-39 civil war and the following dictatorship, and even granted amnesty to those who carried out the Francoist repression. With his ruling, which authorizes the National Court to investigate the disappearance and assassination of some 114,000 victims of the regime between the years 1936 and 1952, Garzón has brought that silence officially to an end.

The ruling is based on his own finding that Franco and 34 of his generals and ministers were guilty of crimes against humanity both for initiating the 1936 military uprising against Spain's legally elected democratic government, and for subsequently attempting to systematically eliminate the regime's supposed political enemies. Garzón has also ordered the exhumation of 19 mass graves from the era, including, most notably, one that is supposedly the final resting place of poet Federico García Lorca.

In recent years, Spain's Socialist government has made some efforts to redress the complaints of victims of the regime and their family members. The Law of Historical Memory, passed in 2007, provides pensions for soldiers who fought in the Republican army and includes a provision that denies the legitimacy of Franco's political trials. But for someone like Silva, whose own grandfather, an activist with a progressive party called Republican Left, was assassinated by pro-Franco Falangists in 1936, that law doesn't go far enough. "The political branch of the government is still refusing to publicly recognize the victims of the repression," he says. "And still refusing to punish the perpetrators. If the law had been better, we wouldn't have had to go to court."

Julián Casanova, a historian at the University of Zaragoza, sees Garzón ruling as a historic turning point. "It's true that recently we've seen a move toward retributive justice [for Franco's victims]," he says. "But this opens the way for the punitive justice that I've long thought we needed."

In a country where some members of Franco's regime continued to hold office long after the dictatorship ended, not everyone supports the decision — including the court's lead prosecutor, who is appealing the ruling. Senator Agustín Conde, spokesperson on judicial affairs for the opposition Popular Party, lamented that Garzón was "reopening wounds that were happily healed," and an editorial in the center-right paper El Mundo warned that "the politics of memory are nasty" and constitute a "bloodless form of vengeance."

But Casanova and other supporters of Garzón's decision aren't worried about the backlash. "This is going to be very polemical, " he admits. "But a democracy cannot permit itself to continue to hide the truth."


형사법원, 내전때 민간인 학살 공식 조사 명령

11만명 이상 실종… 70년 외면 역사 바로잡기

스페인에 과거사 청산 바람이 거세게 불 조짐이다. 70년여년 동안 애써 외면했던 프랑코 시대의 집단 암매장 사건을 재조사하는 스페인판 역사바로세우기 작업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스페인 최고형사법원 발타사르 가르손 판사는 16일 1930년대 스페인내전 당시 프랑코 정권의 조직적 민간인 학살을 공식 조사하라고 명령했다고 영국 BBC 방송과 미 AP 통신이 보도했다.

가르손 판사는 우선 1936~39년 내전 중 실종된 민간인 수만명이 암매장된 것으로 알려진 19곳의 집단무덤을 발굴해 유족에게 실종자 시신을 찾아 줄 것을 지시했다. 매장지 중 한 곳에는 20세기 스페인의 최고 시인으로 추앙 받던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도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AP통신이 전했다. 공화파를 지지하던 로르카는 내전 초기 스페인 남부 그라나다 지방에서 처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르손 판사는 판결문에서 "내전 중 실종자의 일가 친척들에게 70년이 지나도록 희생자의 생사조차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영원히 계속되는 고문이며 결국 그들 가족에게도 희생자와 같은 처벌을 내리는 것이다"라고 밝혔다.

AP통신은 가르손 판사가 쓴 68쪽의 판결문이 스페인 역사의 암울한 시기를 은폐하려는 세력들에 정면으로 맞서 지난 십여년간 계속돼온 진상규명 운동의 결정판이라고 평가했다. 내전 희생자 가족들과 성직자들은 지난 10여년간 줄기차게 진상 규명을 요구해 왔으며, 지난해 9월에는 내전기간 실종자 13만명의 명단을 가르손 판사에게 제출했다. 가르손 판사는 판결문에 내전 발발 후 1952년까지 최소 11만4,000명이 프랑코 정권 치하에서 실종됐다고 추산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대부분 희생자의 시신을 발굴해 정중히 재매장할 것을 원하고 있다. 하지만 로르카 시인의 조카는 현재 상태로 그대로 남겨둘 것을 고집하고 있다. 조카는 로이터통신에 "희곡 <피의 결혼식>이나 시집 <뉴욕의 시인>을 남긴 위대한 작가가 어떻게 처형됐는지 미래 세대가 기억해야 한다"며 이장 거부 이유를 밝혔다.

가르손 판사는 시신 발굴에 이어 아직까지 생존해 있는 학살 책임자를 처벌하겠다며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과 34명의 고위 보좌진을 혐의자로 판결문에 명시했으며, 처벌을 면하려면 사망신고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스페인 내무부 장관에게 프랑코가 이끌던 파시스트 팔랑헤당(黨)의 고위직 명단을 제출할 것을 명령했다고 BBC통신이 보도했다.

이 판결에 대해 스페인 검찰총장은 즉시 항소의사를 밝혔다. 1977년에 내전 당시 범죄에 대한 사면법이 제정됐기 때문에 누구도 고발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다.

하지만 가르손 판사는 반인도적 범죄에 대한 처벌에는 법정시효도 국경도 제한이 될 수 없다며 완강한 입장이다. 가르손 판사는 1998년 척추 수술을 받으려 영국 런던에 입원해 있던 칠레의 전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에게 '반인도적 범죄행위'를 이유로 체포영장을 발부해 구금해 유명해졌으며, 2003년에는 같은 이유로 오사마 빈 라덴을 기소하기도 했다.

가르손 판사는 BBC에게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다르푸르 등을 생각해볼 때 오늘날 세계는 반인도적 범죄에 대해 너무 쉽게 눈감아주고 있다"며 "이를 단죄하지 않는다면 반인도적 범죄는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스페인 내전

공화파 정권 대항 프랑코 등 군부 반란… 1936년부터 3년간 50만명 이상 희생

스페인 내전은 사회주의 성향의 공화파가 1936년 2월 총선 승리로 정권을 장악하자, 7월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이끄는 군부가 반란을 일으키면서 시작됐다. 이후 이탈리아 무솔리니와 독일 나치가 반란군을 지원했고 소련과 멕시코 정부를 비롯 전세계에서 몰려든 의용병들로 구성된 국제여단이 공화파를 지원하면서 국제전 양상을 비화해 '2차대전의 전초전'으로 불리기도 했다. 1939년 반란군의 마드리드 입성으로 끝난 내전기간 50만명 이상이 희생됐다. 어니스트 헤밍웨이도 이 전쟁에 참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누구를 위하여 종을 울리나'를 집필했다.

1975년 프랑코의 사망으로 독재정치가 막을 내린 직후인 1977년 분열방지와 민주주의 정착을 명분으로 사면법이 제정되면서 내전의 비극은 철저히 외면돼 왔다. 하지만 2004년 사회당 집권 후 희생자 가족들을 중심으로 진상규명운동이 본격화했으며, 지난해 12월 희생자 발굴과 유족에 대한 보상 등을 골자로 한 '역사적 기업법'이 발효됐다.

정영오기자 young5@hk.co.kr

Friday, October 17, 2008

Contribution of Taekwondo to Heighten Korea’s Prestige

A. The commission found the well-known martial art of Taekwondo has been contributed to heighten the national prestige of Korea overseas throughout Europe, Asia, Africa, etc.
B. Taekwondo has grown popularity over last decades and became a popular sports practiced by some 60,000,000 people worldwide in more than 188 countries.
C. The popularity of Taekwondo has continued to spread around the globe largely due to instructors either sent out by the Korea’s Taekwondo Federation or the Korean government, which have remained supportive on activities of dispatched Taekwondo instructors.
D. The International Taekwondo Federation (ITF) established by Hong-hee CHOI in 1966, in particular, prepared a corner stone to introduce Taekwondo internationally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by hosting international competitions and dispatching instructors overseas.
E. At the later stage, Taekwondo became more systemized and eventually got selected as an official category of the Olympic Games, largely thanks to the efforts of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 (WTF) founded in 1973 and its first president Woon-yong KIM.
F.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aekwondo as an effective device to utilize the cultural diplomacy and has actively aided to dispatch instructors overseas, host international Taekwondo competitions, and secured adequate budgets and facilities to implement thereof.
G. Hereby, the commission found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documentation and evaluation concerning the above-mentioned issue and ascertained Taekwondo has positively impacted to reinforce the Korea’s national prestige in this regard.

* in Korean: http://www.jinsil.go.kr/Information_Notice/news/news_31/news31_4.asp

Korea’s Economic Growth Contributions from

Korea’s Economic Growth Contributions from
Dispatched Korean Nurses and Miners in Germany

In accordance with the commission’s findings, Korean miners were recruited and dispatched to Germany. The Korean government was involved in both their recruitment and dispatch. A total of 7,936 Korean miners were relocated to Germany between 1963 and 1977. In the case of nurses, a total of 10,723 registered Korean nurses were dispatched to Germany beginning in the late 1950s until 1976. The Korean government also played roles in the later stage of this period.
Between 1965 and 1975, the Korean miners and registered nurses in Germany wired a total of USD 101,530,000 back to Korea, which comprised 1.6%, 1.9% and 1.8% of Korea’s total export amount in 1965, 1966, and 1967, respectively.
Considering that the foreign exchange rate was 100% and the earned dollars in the past were valued much higher than today, the Korean miners and nurses in Germany are estimated to have greatly contributed to Korea’s economic growth.
The commission found it untrue that the Korean government received commercial loans successfully from Germany in return for forcefully depositing the Korean miners and registered nurses’ income in Commerz Bank in Germany.
From Korea’s total commercial loan of DM 150,000,000 from Germany, the German government issued DM 75,000,000 under the “Protocol concerning Economic and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Germany” to guarantee the invoice payments of imported German industrial facilities.
It was also found that approximately 60% of the dispatched Korean miners and nurses have resided in Germany and other nations, and contributed greatly in forming and developing Korean communities in their respective residing nations.
The commission’s findings report the dispatch of Korean miners and registered nurses to Germany was considered to be the Korean government’s first attempt to relocate Korea’s workforce overseas. Its impact on Korea’s economic growth has been greatly underestimated and inadequately documented.
A significant finding reveals that the commercial loan from German was not a result of the German Commerz Bank forcefully holding wages of the dispatched Korean miners and nurses. This was found to be false.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the Republic of Korea, hereby, recommended the Korean government to collect relevant documents and make full use of them for educational purposes, as well as to take adequate actions to prevent the spread of false information in this regard.

Tuesday, October 14, 2008

Meet Barrack Obama

Click the subtitle above to see the intro of the president candidate Barrack Obama.

Mandate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Korea

The mission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Korea (TRCK) is quite different from previous transitional justice efforts such as the ``Presidential Truth Committee on Suspicious Deaths,'' due in large part to the emphasis on reconciliation.

The full title for the commission mentioned in parenthesis above is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in the Military. As indicated in its name, there's a clear distinction in its scope of investigation compared with our commission. It only deals with cases in the military, while TRCK deals with overall human rights abuses during Korea's democratization. Other commissions in Korea involved in related truth-finding work investigate distinctive areas, covering either different time periods or different sectors of society.

Truth-finding work is an initial step to reach a possible reconciliation. Without it, the achievement of reconciliation would be practically impossible.

All of the above-mentioned commissions are dedicated to uncovering the truth from past wrongdoings. In this sense, they share the same qualifications, to investigate cases for reconcili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goal of all truth-finding activities.

The TRCK does not have any authority to prosecute or provide economic compensation to petitioners, but it has the right to investigate filed cases, submit investigated reports to the President and parliament twice a year, and afterwards, report its findings to anybody interested.

Although the commission doesn't have direct authority to prosecute, petitioners are still empowered by being allowed to use the commission's findings for judicial settlements, often resulting in some form of compensation.

Measures used to seek reconciliation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include:

― Truth-telling through commission's investigative reports

― Recommendations to public authorities to give formal apologies to victims

― Judicial settlements

― Restoring honor to the victims by establishing memorials, monuments or conducting memorial services, etc.

The investigative scope of the commission largely covers three different areas ― overseas independence mov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1910-1945), mass civilian sacrifices before and during the 1950-1953 Korean War and human rights abuses during Korea's democratization.

There were previous efforts to seek truth and settle past wrongdoings. In 1948, a special law was passed to prosecute Japanese collaborators during Japan's colonial regime, yet it was annulled in 1951; this law is largely acknowledged as unsuccessful and a large number of those accused of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occupational government were never brought to trial. Many even prospered during the U.S. occupational government, the military dictatorships and to this today.

Although,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dictatorships in Korea little attention was given to truth-finding work in the governmental arena, there were constant movements among civil groups and the public;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1980, the student demonstration at Konkuk University in 1987, etc. These are good examples of how people and civil groups continued to pursue the truth even under severe authoritarian repression.

In 1995, a valuable lesson was proven with the prosecution and sentencing of two former authoritarian rulers of Korea, Chun Doo-hwan and Roh Tae-woo, showing even successful coups can be punished.

Systematically implemented truth-finding work at the governmental level only began when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took office in February 2003.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as recently signed with Chile in the area of transitional justice.

Many other countries share similar stories to that of Korea, thus leaving responsibilities of settling the past to all. As well as the countries involved in World War I and II, there are still many countries out there offering exemplary stories in regard to truth-finding work.

Among those, we can easily see cases from South Africa, Chile, Argentina, Peru, Rwanda, Cambodia, Indonesia, Spa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The TRCK endeavors to build an international alliance to make the truth-finding process easier for the respective nations involved. Currently, we're working toward developing an MOU with Argentina. For more information, visit http://jinsil.go.kr/English/index.asp

Thursday, October 09, 2008

대한민국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위원회에 관한 동아, 중앙일보 기사 반론 의견

이 자료는

2008년 10월 6일자 <동아일보>(1․3면) 기사와
10월 7일자 <동아일보>, <중앙일보>, <국민일보>의 관련
사설에 대한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반론 의견 입니다.


주 요 내 용
○ 과거사관련 위원회들의 예산에 대해
○ 과거사위원회의 인건비가 늘었다는 보도에 대해
○ 과거사위원회 업무가 분열과 갈등을 조장한다는 보도에 대해
○ 과거사위원회 간의 업무가 중복된다는 보도에 대해
□ 과거사관련 위원회들의 예산에 대해
노무현 정부는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을 제정했다. 거기에다 친일반민족행위,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군(軍)의문사 진상규명, 그리고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 특별법 같은 특별법을 양산했다. 무려 12개의 과거사 관련 위원회가 만들어지고, 여기에 수천억 원의 국민 세금이 들어갔다.
(동아일보, 10. 7. 사설)
○ ‘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기에 발생한 수십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무고한 민간인 희생사건에 대한 진실을 밝히고 위법한 공권력에 의한 억울한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주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역사의 진실과 민족의 정통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제 식민지 하에서의 친일반민족행위의 진상을 밝히고 있습니다.
- ‘군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는 군 내에서 발생했던 수많은 사망사건 중 유가족들에 의해 사망원인과 관련하여 의문이 제기된 사건들의 진상을 밝혀 의혹을 해소함으로써 국방 의무에 대한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 이와 같이 12개 과거사위원회들은 각자 고유의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국회에서 여야합의에 따라 그 필요성이 인정되어 만들어진 것입니다.
○ 동아일보는 기사와 사설을 통해, 12개 과거사위원회에 수천억 원 국민세금이 들어가고 또, 2009년도 과거사위원의 총 예산이 2,062억이라고 보도했는데, 2,062억 원 예산 가운데 1,200여 억 원은 북파공작원(특수임무수행자보상심의위원회)의 보상비입니다.
□ 과거사위원회의 인건비가 늘었다는 보도에 대해
○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07년 47억 원에서 올해 98억 원으로 두 배 이상으로 인건비를 늘린 데 이어…
(동아일보. 10.6. 기사)
○ 내년 예산을 보면 사업비는 줄고, 대신 인건비가 늘어났다. (동아일보, 10. 7. 사설)
○ 지난 10년간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과거사위원회는 사회 일각으로부터 '좌파들의 세금 잔치'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어지간하게 활동했다. (국민일보, 10. 7. 사설)
○ 동아일보는 진실화해위원회의 2008년 인건비가 51억 원 늘었다고 보도했는데, 파견된 공무원들의 봉급을 2007년까지 원 소속기관에서 지급하였으나, 2008년부터는 파견 받는 기관(진실화해위원회)이 봉급을 지급하도록 규정이 변경되어 다른 부처의 인건비 예산이 우리 위원회로 이관된 것인데, 이것을 가지고 인건비가 ‘두 배 이상’ 늘었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사실을 왜곡한 것입니다.
○ 국민일보는 12개 과거사위원회를 가지고 ‘10년간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고 하고 또, ‘좌파들의 세금잔치’란 표현을 인용하여 보도하였습니다. 하지만 일제하강제동원, 북파공작원, 삼청교육대 등의 보상금 지급을 두고 그렇게 보도하는 것은 심히 유감스럽습니다.

□ 과거사위원회 업무가 분열과 갈등을 조장한다는 보도에 대해
○ 자학사관과 국민 편 가르기 코드로… 오히려, 분열과 갈등을 증폭시킨 측면이 있고 … (동아일보, 10. 7. 사설)
○ 이들 위원회가 … '진실과 화해'와는 거리가 있는 '분열과 갈등'을 오히려 더 많이 만들어 냈다. (중앙일보, 10. 7. 사설)
○ 진실화해위원회는 10,860건의 진실규명 신청을 받았습니다. 이는 공권력의 위법한 행위로 인해 억울하게 인권침해를 당한 사람들과 한국전쟁기에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들의 유가족들이 수십 년 간 가슴에 맺힌 억울함을 풀어달라고 요청한 것입니다.
- 그 요청에 따라서 신청 사건을 조사하고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는데 이것을 자학사관이니, 분열과 갈등을 조장한다고 하는 것은 적절한 설명이 아니라고 봅니다.
○ 국가 공권력에 의한 피해 사건은 국가가 책임지고 그 진실을 밝혀내야 하며 또, 국가의 잘못은 국가가 스스로 해결함으로써 국가와 국민간의 신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지난 2월, 한 언론사의 여론조사(시사저널, 2008. 2. 25)에 의하면, 과거사정리 활동에 대해 ‘과거사 규명 작업의 필요성에 공감’한 응답이 61.8%, ‘불필요한 작업으로 사회분열을 양산시켰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29.4%였습니다.


□ 과거사위원회 간의 업무가 중복된다는 보도에 대해

○ 감사원도 4월 감사 결과를 통해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과거사위의 중복 활동을 지적하며 정비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동아일보, 10. 6. 기사)
○ … 위원회 간의 기능 중복도 많았다. (동아일보, 10. 7. 사설)
○ 지난 4월, 감사원은 이수근 위장간첩사건의 예를 들어 두 국가 기관이 상반되는 판단을 하고 중복조사를 하였다고 발표하였고 이를 언론들이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08.4.30일자 보도(조선 3면, 중앙 12면, 동아 8면)」
○ 이수근 사건이란 ‘이수근이 북한으로부터 위장 귀순한 간첩’이라고 하여 사형시킨 사건입니다. 그 판결로 인해 ‘민주화보상심의위원회’에서는 이수근에 대해 민주화운동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 그러나,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이 사건을 신청 받아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 관련문서, 참고인 등을 통해 조사한 결과, 이수근이 위장 귀순한 간첩이 아닌데도, 간첩으로 조작되어 억울하게 사형당한 사실을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진실규명에 따라 법원에서는 현재 재심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 바로 이런 점 때문에라도 왜곡된 사실을 밝히는 진실화해위원회의 임무가 중요합니다. 이를 두고 두 기관이 중복조사하여 서로 상반된 결과를 냈다고 한 감사원 발표는 심히 잘못된 것입니다.
붙임 동아일보 관련 기사 1부. 끝.

Wednesday, October 08, 2008

Prof. José Álvarez Junco, reconociendo a las víctimas de injusticias pasadas

This is the interview of Prof. Jose Alvarez Junco by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during his visit to our commission. Prof. Alvarez Junco was the president of the Ministry of Presidency in Spain, who first drew drafts of "Historic Memory Law" to recognize victims from the Spanish Civil War and Franco regime.

---------------------------------------------------------------------------------
KBS WORLD RADIO 2008-10-03

‘Seul en contacto con el mundo’

Prof. José Álvarez Junco, reconociendo a las víctimas de injusticias pasadas

En Corea existe la Comisión por la Verdad y la Reconciliación, que trabaja para esclarecer los casos de violencia y persecución que hubo en el período de dominio japonés, la época previa y posterior a la Guerra de Corea y los años de dictadura y los gobiernos autoritarios.

En realidad, la tarea de la búsqueda de la verdad histórica y del establecimiento de medidas a favor de las personas que fueron víctimas de injusticias pasadas no es exclusiva de Corea.

España, por ejemplo, es un país que hizo y está haciendo muchos esfuerzos en este sentido. Y el fruto de su dedicación es la Ley de la Memoria Histórica, mal llamada de esta manera por la prensa según el experto que ayudó en pensarla, el profesor José Álvarez Junco.



KBS WORLD RADIO

‘서울리포트’

호세 알바레스 훈코 교수, 지난날 사회의 불법적 행위에 의해 발생한 희생자들을 인정하면서

한국에는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발발 전후와 군부독재 및 권위주의 통치기간동안 자행되었던 정치폭력과 인권침해사건 등에 대해 조사하는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존재한다.

실제로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고 지난날 불법행위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들에 대해 조치를 취하려는 사회적인 움직임은 한국 만에 과제가 아니다

스페인 역시 이러한 측면에서의 다양한 노력을 해 왔던 국가 중 하나이다.
호세 알바레스 훈코 교수는 언론에 의해 잘못 붙여진 이름이지만 ‘역사적 기억법’이 바로 이러한 스페인의 꾸준한 노력으로 탄생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주하선 리포터


□ 다음은 지난 30일 KBS WORLD RADIO와 갖은 훈코 교수의 인터뷰입니다.

2005년 12월 1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설립되었습니다. 본 기관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발발 전후와 군부독재 및 권위주의 통치기간 동안 발생했던 사회 부조리와 인권침해 사건들에 대한 역사적인 진실을 규명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지난날 자행되었던 정치폭력 사건과 인권침해 등에 대한 진실을 규명하기 위한 꾸준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시민단체 등 다양한 사회계층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위원회와 이러한 사회단체들의 활동은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현재 세계 각 지역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현상으로 세계 각국들은 과거에 자행되었던 폭력의 희생자들에 대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들 중 하나가 스페인입니다. 스페인에서는 10개월 전 ‘역사적 기억법’이라는 법안이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오늘은 스페인 마드리드의 콤플텐세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신 호세 알바레스 훈코 교수를 모시고 약 열 달 전 스페인 의회에서 통과된 ‘역사적 기억법’과 관련하여 자세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

문 : 교수님께서는 이번 주 서울에서 강연을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었습니까?

답 : 10개월 전 의회에서 통과된 ‘역사적 기억법’과 관련한 내용이었습니다. 이 법안은 프랑코독재와 내전시기의 희생자들을 위해 마련된 법적인 조치입니다.

문 : 본 법안을 ‘역사적 기억법’이라고 알고 있는데요. 주로 어떤 내용입니까? 그리고 이러한 법안이 만들어진 목적은 무엇입니까?

답: 네 그렇습니다. 본 법안의 명칭은 역사적 기억법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명칭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 명칭은 언론에 의해서 불리워진 이름인데 사실 홍보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법안의 내용은 명칭처럼 역사에 대한 기억을 정립한다는 것과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역사적 기억이 아니라 프랑코 독재시대에 발생했던 역사적 진실을 정립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식법안의 명칭은 좀 긴 데요. ‘내전 및 독재기간 중 처벌 및 폭력 피해자를 위한 권리 인정 및 확대와 조치를 위한 법안’ 으로 스페인 내전과 프랑코 정권 하에 희생된 사람들의 권리를 확대하고 명예를 회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만들어졌습니다.

문 : 어떠한 스페인의 정치사회적인 배경에서 이러한 법안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까?

답 : 2004년부터 사회당 당수인 사파테로(Zapatero)총리가 집권한 이후 적극 추진되었습니다. 특히 사파테로 정권의 정책은 시민의식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법안은 이러한 기본 정책을 토대로 만들어졌습니다.

문 : 교수님께서는 얼마 전까지 대통령부 정치․헌법학 센터장으로 활동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교수님이 담당했던 역할은 무엇이었습니까? 소위 언론에 의해 불리워지고 있는 ‘역사적 기억법’이 만들어지는데 역할을 하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답 : 한마디로 본 기관은 정부의 정책에 대해 자문하는 기관입니다. 그렇지만 직접적으로 자문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기관이라고 할 수 있지요. 스페인의 현안 문제와 관련한 정부정책을 연구하는 기관입니다. 예를 들면 ‘역사적 기억법’의 법안내용에 대해서 실제로 많은 부분을 제가 직접 썼습니다. 또한 본 센터의 역할을 말씀드리자면, 스페인의 경우와 비슷한 경험을 했던 타 국가와의 연대를 통해 세미나나 학회 등 다양한 행사를 조직하고 개최했습니다. 특히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우인데요. 아르헨티나, 과테말라, 콜롬비아 등의 사례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국제적인 시간으로부터 스페인의 사례를 연구하기 위한 시도를 했습니다. 이러한 국제적인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우리들은 이러한 문제들이 스페인에서만 발생했던 문제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이러한 깨달음은 우리의 시민의 양심에 다소 위안이 되기도 합니다.
문 : 이 법안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항목을 소개해 주실 수 있습니까?

답 : 본 법안의 항목은 20개로 이루어졌고, 분야로 나눈다면 6~7분야 정도 아닐까 합니다. 가장 중요한 항목이 첫 번째라고 생각합니다. 약 3년간의 내전과 40년간의 독재기간 동안 희생된 희생자들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며 이들의 희생사실을 인정하는 내용입니다. 특히 개인적인 인정부분인데요. 즉 당시 희생되었던 희생자들을 개별화하고 이들의 희생사실을 개별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경제적 보상과 관련된 항목입니다. 사실 스페인에서는 이미 70년대부터 희생자의 유족에 대한 연금지급과 정치범에 대한 보상 등 다양한 경제적 보상 방안이 검토되어 왔었는데, 본 법안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보상범위가 확대되었다고 생각됩니다.
또 다른 중요한 내용은 당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피해자의 시신에 대한 발굴 작업입니다. 현재 약 3만구의 시신이 피해지역 전역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특히, 유족들이 희생자의 시신이 매몰된 지역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들의 도움으로 빠른 시일 내에 시신발굴이 이루어져 적절한 방법으로 수습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는 본 시신 발굴 작업을 주도하지 않으나 이러한 작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유족, 혹 이해 당사자, 사회단체 등을 법적․ 경제적 측면에서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정부는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시신에 대한 신원확인 때 의학적인 부분에서도 적극적인 지원을 할 예정입니다. 즉 시신의 신원확인과 발굴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공공건물과 공간 내에 설치된 조각과 기념물 중 내전과 독재에 대한 찬양을 주제로 만들어진 기념물들을 교체하는 작업입니다.

문 : 본 법안이 통과되었을 당시 사회적인 여론은 어떠했습니까?

답 : 법안이 통과되기 전에는 당시 제1야당이었던 국민당과 보수계층이 입법을 반대했으나, 법안이 통과된 이후 사회적으로 긍정적으로 여론이 조성되었습니다. 이후 역사기억의 회복 등 시민 사회단체는 법안의 내용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부여당의 태도가 미온적이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2008년 사회당의 재집권으로 분위기가 달라졌는데요. 국민당은 오히려 이전보다 미온적인 자세를 취했습니다. 한편 가르손 판사는 개인적으로 당시 피해자와 관련한 정보를 요청했는데, 그는 이러한 사건이 집단희생 성격의 사건으로 UN인권법에 의한 인권침해 사건이라고 규정짓고 있습니다.

문 : 과거사에 대한 진실규명 활동과 희생자의 희생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답 : 아주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아주 유명한 19세기 스페인 철학자의 어구를 인용하여 설명하고 싶습니다. ‘과거를 잊어버리는 민족은 향후 이러한 일들을 반복할 운명에 처해 있다’ 는 말입니다. 저는 이러한 일이 반복해서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회가 참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사실 1970년대, 1980년대, 90년대와 2000년, 그리고 현재 스페인사회는 1930년대와는 아주 상이합니다. 결코 당시 일어났던 내전과 같은 일들이 현재 사회에서 반복되어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또 다른 어구는 ‘우리들은 희생자들에 대해 빚이 있다’라는 말인데요. 약간은 문학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긴 하지만 현실을 직시해서 말한다면 당시 정치폭력에서 희생된 희생자들은 이미 고인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들은 희생자들에 대해서 현재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이미 희생된 피해자들이 직접적으로 경제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들은 현재 민주사회에 살고 있고, 민주사회란 결국은 허위나 은폐가 아닌 진실에 기초한 사회입니다. 우리는 진실을 알아야 할 권리를 가지고 있고 또한 진실을 밝힐 수 있어야 합니다.

문 : 한국의 경우도 지난날 독재정치 하에 스페인처럼 많은 희생자들이 발생했고, 현재 진실규명과 피해자에 대한 인정 그리고 이들에 대한 보상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와 관련하여 교수님께서 어떤 조언을 해 주실 수 있으신지요?

답 : 저는 한국의 사례와 관련하여 전문가가 아닙니다. 스페인과 한국은 다소 비슷한 측면이 있는데 스페인은 3년간의 내전을 겪은 후 군부독재 정권이 들어섰고 이러한 면에서 한국도 비슷한 역사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과 스페인의 경우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의 경우 북한의 존재를 무시할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북한은 군사적으로 무장되어 있는 국가로 충분히 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입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시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한국전쟁은 50년대에 발생했고, 스페인 내전은 30년대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당시 스페인 내전에서 가해자라고 할 수 있는 책임자들은 현재 모두 사망했습니다. 한국의 경우와는 아주 다르지요. 따라서 한국은 가해자에 대한 처벌문제와 가해자에 대한 규명이 중요한 문제일 수 있지만 스페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상징적인 의미에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양국의 차이점을 다시 말한다면, 첫째 한국은 스페인과 달리 아직도 북한과 같은 위험이 존재하고 있고, 이러한 위험요인을 이용하는 보수주의자들과 지지자들이 건재합니다. 즉, 아직도 약간의 냉전 요소가 잔재되어 있습니다. 둘째, 가해자가 현재 생존해 있다는 사실입니다. 특히 군부독재 기간의 가해자중 에는 다수가 생존해 있을 겁니다. 이러한 면에서 한국의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되겠지요.

문 : 스페인의 과거사 규명 작업이 한국에게 좋은 선례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답 : 저도 그러길 바랍니다. 기억해야 할 것은 한국의 이러한 경험은 한국에서만 일어났던 끔찍한 문제가 아니었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이러한 일들이 발생했었고, 이미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한 국가들이 있고, 성공을 거둔 국가들도 있습니다. 바로 칠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페루 등 라틴아메리카국가들의 사례입니다. 우리들은 이미 이러한 과거사 규명 작업을 먼저 시작했고 이러한 의미에서 한국보다 경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각국의 상황이 다르지만 서로의 경험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 훈코 교수님의 말씀대로 한국과 스페인의 상황은 매우 다르지만, 스페인의 경험이 한국에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합니다. 과거에 발생했던 이러한 불행한 일들이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고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아픔이 되고 있습니다.

Tuesday, October 07, 2008

편집자의 편지: 박성희씨, 안녕하시죠?

얼마 전 어느 탈북인과 술을 마시다 ‘임수경’씨 이야기가 화제에 올랐습니다. 그는 아직도 ‘림수경’이라고 발음했습니다. 필자에게도 임수경보다는 림수경이 왠지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 이름, 1989년 전대협(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대표로 당시 평양에서 열린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에 참가했던 임수경씨는 여전히 북한에서는 ‘영웅적’인 인물이요 ‘통일의 꽃’입니다. 그런데 북한정권은 임수경씨를 체제홍보의 수단으로 최대한 활용하려 했지만, 탈북자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청바지에 티셔츠를 차려입고 자유분방하게 활동하는 임수경씨의 행동은 오히려 북한 사람들에게 ‘남한의 자유’를 느끼게 한 하나의 계기였다고 합니다. 지구를 한바퀴 돌기는 했지만 그래도 마음만 먹으면 외국행 비행기를 탈 수 있다는 사실이, 생각있는 북한사람들에겐 신선한 충격이었다지요. 전대협도 물론 이런 점을 의도하였던 것은 아닐 것입니다.
‘밀입북 1호’였던 임수경 이후 전대협, 그리고 그 뒤를 이은 한총련은 이른바 ‘방북투쟁’이라는 이름아래 해마다 학생들을 북한으로 보냈습니다. 박성희(91년), 성용승(91년), 최정남(94년), 정민주(95년), 이혜정(95년), 류세홍(96년), 도종화(96년), 김대원(98년), 황선(98년), 황혜로(99년). 이렇게 숱한 사람들이 자칭 타칭 한국 대학생의 ‘대표’가 되어 북한 땅을 밟고 왔지만 그래도 역시 가장 유명한 인물은 임수경씨입니다. 작년 이맘때쯤에는 386 정치인들의 ‘5·18 광주 술판’을 이슈화하여 다시 한번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럼 이 글을 읽는 독자 여러분 중에 혹시 박성희씨를 기억하시는 분 계십니까? 제가 임수경씨 이야기를 꺼낸 것은 사실 바로 이 ‘박성희' 라는 사람을 설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박성희씨 역시 ‘방북대표’였습니다. 1991년 당시 경희대 작곡과 4학년이었던 성희씨는 부모님께 “배낭여행을 다녀오겠다” 인사하고 그 해 6월 24일 김포공항을 나섰습니다. 그러나 그가 택했던 배낭 여행지는 일반적인 대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땀흘려 아르바이트해 모은 돈으로 찾는 유럽의 박물관이나 북미의 눈부신 호수 같은 그런 ‘평범한 곳’이 아니었습니다. 자신이 믿었던 조직 ‘전대협’이 지시한 배낭여행지(?)는 바로 ‘반세기 금단의 땅’ 북한이었습니다.

오스트리아 빈을 거쳐 베를린으로 간 성희씨는 1991년 8월 3일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했습니다. 당시 그는 “나의 방북이 5분이라도 통일을 앞당길 수 있다면 하는 믿음에서” 북한행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북한에 도착한 성희씨는 대표로서의 임무를 착실히 수행했습니다. ‘백두-한라 통일대장정’에 참여하였고 평양에서 열린 ‘청년학생통일회담’에서 북한측과 <조국통일 범민족청년학생연합>(범청학련) 결성을 결의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8월 15일 판문점을 통해 그는 남한으로 ‘귀환’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전대협은 그에게 또 다른 임무를 주었습니다.

성희씨는 남한도 북한도 아닌 독일 베를린으로 다시 날아갔습니다. 아는 이 하나 없는 낯선 베를린에서 성희씨가 할 일은 범청학련 건설을 구체적으로 준비하는 것. 외로움, 배고픔과 싸우며 완전히 ‘제로(0)’의 상태에서, 졸지에 국제미아 신세가 되면서도 그녀는 이 임무도 마다 않고 시작했습니다. 범청학련 남북해외 공동사무국장을 맡아 몇 년간 전대협, 한총련과 북한을 잇는 교량자 역할을 하던 성희씨의 가슴에, 그러나 돌아온 것은 ‘좌절’과 ‘혐오’였습니다.

1998년 8월 7일, 성희씨는 영영 못 돌아올 것 같던 한국 땅을 밟았습니다. 23살 처녀의 몸으로 나섰던 김포공항에, 이젠 서른 살 아줌마가 되어 말입니다. 갈 때는 혼자였지만 올 때는 예쁜 딸 초롱이와 남편, 그리고 4명의 동지들과 함께 왔습니다. 그리고 귀국 몇 일 후인 8월 19일 그녀와 동지들은 ‘반성의 기자회견’을 자청하여 북한추종주의 통일운동의 문제점과 한총련의 해체를 주장했습니다.

무엇이 이들을 변하게 했을까요? 그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들을 북한에 보낸 ‘조직’과 통일의 든든한 한 축이라고 생각했던 ‘북한정권' 때문이었습니다. 객관적 현실을 무시한 채 무조건 ‘관철’만을 강요하며 범청학련을 자신들의 전위대쯤으로 생각하는 북한정권의 반(反)민주성을 접하면서, 또 이를 추종하며 노선에 조금이라도 이의를 제기하면 ‘배신자’로 몰아붙이는 한총련의 맹목성과 싸우는 과정에, 그녀는 ‘전향’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그녀와 함께 귀국하여 기자회견을 했던 네 명의 동지 중 두 명은 “‘변절자 박성희’의 지위를 박탈하고 범청학련을 재건하라”는 임무를 받고 밀입북한 사람들이기도 했습니다.

성희씨가 몇 년간 범청학련 사무국을 꾸려 오면서 북한정권과 한총련에 느낀 좌절과 혐오의 과정은 귀국 이듬해에 쓴 「베를린, 그리고 3천일 만의 귀향」(한울출판사) 이라는 책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몸으로 체험하면서 북한의 진실을 알게 된 성희씨, ‘북으로 갔다가 북을 넘어 선' 그녀의 목소리를 이 자리에서 전부 전할 수 없기에 독자 여러분의 일독(一讀)을 권하며 1999년 문화일보에 실린 성희씨의 기고문 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북의 체제는 모든 진리와 자주성을 수령이 독점하는 체제다. 거기에서는 인민의 자주성과 창발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민주주의가 발전할 수 없다. ‘혁명적 군인정신’과 ‘유격대식 기풍’이 최고의 덕목으로 강조되는 북한에서 사회의 민주주의는 질식될 수밖에 없다. 한반도 통일에 있어서의 핵심은 사회적 정체성의 확보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체성의 핵심은 바로 민주주의다. 남쪽에서 발전되어온 민주주의를 심화시키고 북에서 민주화를 진행하는 것, 이것이야말로 통일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문제를 완충시키고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본다.... "

필자와 ‘임수경’을 이야기하던 탈북인은 “임수경은 직접 본 적이 없지만 박성희는 가까이에서 본 적이 있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저에게 “지금 박성희씨는 무엇을 하고 있느냐”고 묻더군요. 제가 “박성희씨는 잘 모르지만 그녀의 남편과는 조금 아는 사이”라고 대답했더니 갑자기 그의 얼굴이 환해졌습니다. 박성희씨가 동료들과 함께 전향을 하였고, 이제는 북한민주화운동을 지지하고 있다고 이야기했더니 전혀 모르던 사실이라고 놀라며 무척이나 기뻐하더군요. 그리곤 꼭 안부를 전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그에겐 ‘박성희가 북한민주화에 뜻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이, 북한에서 ‘전대협 대표 박성희’를 만나던 기쁨보다 더 큰 동지애를 느끼게 했나 봅니다.

박성희씨. 분명 이 글을 읽고 계시겠죠? 1991년 박성희씨 곁에서 어깨 걸고 ‘연방제 통일’과 ‘주한미군 철수’의 구호를 외쳤던 그 날의 그 북한 대학생, 신의주 관서대학 - 당시에는 신의주 제1사범대학 - 학생이었던 ‘김은철’씨가 성희씨에게 안부를 묻습니다. 잘 지내시죠? 당당하고 예뻤던 성희씨의 모습을 보며 남한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답니다. 그래서 1999년에 목숨을 걸고 북한을 탈출하여 지금은 서울에 살고 있습니다. 늘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이러니 무슨 'TV는 사랑을 싣고’를 하는 기분이네요. 아무튼 세상은 참 묘한 ‘관계의 뒤엉킴’으로 잔잔한 즐거움 - 사는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북한 추종적 통일운동의 소용돌이 속에 신념에 불타 평양행 비행기를 탔던 남한의 운동권 여학생, 그리고 그의 모습에서 ‘자유’를 배운 북한의 동갑쟁이 남자 대학생. 그 운동권 여학생은 3000 일의 이국살이 과정에 진실을 깨달아 고향 땅을 밟았고, 이제 남녘으로 도망쳐 온 남자 대학생은 북한이 민주화되는 날 고향 신의주로 돌아갈 것을 염원하고 있습니다. 성희씨는 남한으로 다시 돌아 왔고, 이제 은철씨가 다시 북한 땅을 밟아야 할 차례입니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그 길을 여는 ‘열쇠’가 되어 주십시오.

Spanish MPs to vote on law recognising Franco's victims

· Reform would stir up past, say conservatives
· Backers say compromise is crucial moment for SpainPaul Hamilos in Madrid The

Guardian, Thursday October 11 2007

Flor Baena remembers her brother Humberto as an "honourable man, tall and slim". He was an idealistic young philosophy student who opposed the dictatorship of Francisco Franco, but his political beliefs were to cost him his life.
Franco's death was just weeks away when, on September 27 1975, Baena was hauled in front of a military court, accused of killing a policeman in Madrid. This was impossible, says his sister, because he was in Portugal, but the alibi was never presented at his hastily arranged trial. The case against him was flimsy, relying on the witness statements of two women, one of whom later retracted her claims.

At the age of 24 Baena was killed by firing squad - one of the last five men to be executed under Franco.

"He had his political ideas but he was never involved in violent attacks. They killed him simply because he was a republican," said his sister. She has fought for years to clear his name, going through the Spanish courts and up to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because she wants him to be remembered "not as a killer, but as someone who was killed".

Last year the Socialist government of José Luis Rodríguez Zapatero, whose own grandfather was executed by Franco's forces, declared a "year of the recovery of historic memory".

But it has taken until this week for a compromise to be reached on a historical memory law that would mean that trials held by Franco's regime would be ruled illegitimate and his victims would be recognised. It will be voted on at the end of the month. Even this agreement was not unanimous - the conservative People's party refused to support it, saying the law unnecessarily "stirs up the past", while the Catalan Republican Left said it did not go far enough.

The civil war, which began in 1936 and resulted in Franco's 36-year dictatorship, cost an estimated 500,000 lives. After their victory Franco's nationalist forces killed thousands of republicans and sent many more to labour camps.

Many Spaniards believe that the transition to democracy that followed Franco's death in 1975 is a model for other former dictatorships, but it was based on a "pact of forgetting".

The Socialist parliamentary spokesman Diego López Garrido declared the compromise to be a crucial moment in Spain's history. "The law will provide definitive reparation and recognition for those who suffered in the civil war," he said.

But human rights groups have opposed many elements of the bill, saying that it falls short of providing justice. While the law describes the trials held under Franco as "illegitimate", it has not annulled them, because that would require each case to be reinvestigated, and the government does not want an avalanche of old cases.

Conservatives see Mr Zapatero's efforts as highly partial. El Mundo newspaper condemned the law for "talking only of the victims of Francoism, without ever mentioning the others", arguing that victims of the republicans have been ignored.

Emilio Silva, president of the Commission for the Recovery of the Historic Memory, describes the law as a necessary step for Spain, saying that "it normalises us with the rest of Europe". He is concerned that there is no provision "for a census of the victims, which would allow people to find out what happened to their relatives", but is pleased to see a debate on the civil war "after so many years of silence".

The law will not clear Baena's name. His sister faces the problem of double jeopardy - with no new evidence to present, she cannot return to court. "We would have to find the person who did it," she says, and more than three decades on that is not going to happen. Her lawyer has advised her that if the law passes in its current form she will have to take a case for clemency to the UN. "It's our last hope to clear his name," said Ms Ba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