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July 31, 2008

산청 외공리 민간인학살 진실 파헤친다

진실화해위 “진실규명과 화해, 위령사업 토대 마련할 것”
구자환 기자kmindong@korea.com
사진더보기
2000년 1차 발굴한 외공리 피학살자 유해를 모은 봉분
ⓒ 민중의소리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 희생사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유골발굴을 진행하고 있는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가 2008년 유해 발굴지 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

유해발굴 계획이 확정된 곳은 △산청군 원리 및 외공리 △전남 순천시 매곡동 △충북 청원 분터골 및 지경골 △경북 경산코발트 광산 △전남 진도군 갈매기 섬이다.

진실화해위는 이들 유해 발굴지 중 경남 산청군 원리와 외공리 민간인학살사건에 대해 19일 먼저 발굴사업을 시작했다. 경남지역에서는 2000년 산청 외공리, 2004년 마산시 진전면 여양리에서 보도연맹관련 피해자들의 유해가 민간차원에서 발굴되기는 했지만, 국가 주도로 민간인 학살자들의 유해가 발굴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산청군 외공리와 원리 민간인 학살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일단 국민보도연맹 피해자는 아니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사진더보기
산청 외공리 학살 매장지를 둘러보고 있는 관계자들
ⓒ 민중의소리


원리 민간인 피해자 사건의 경우 1949년 7월18일 덕산초등학교에 주둔하고 있던 국군 3연대 37명이 빨치산 출몰과 관련한 작전을 수행하던 중 전원이 몰살당하는 사건이 벌어진 바 있다. 이를 계기로 1950년 2월경 3연대 소속 국군이 시천, 삼장일대 지역 주민을 공비색출 명분으로 집결시켜 적과 내통했다는 이유로 집단 학살한 사건이다.

유족들의 증언에 의하면 야간에 빨치산이 음식을 구하기 위해 마을로 내려오고, 낮에는 국군이 마을로 와서 음식을 주었다는 이유로 마을 주민들을 통비분자로 몰아 죽창과 칼로 처형했다고 한다.

이와 달리 외공리 매장지 쪽 사건은 1951년 2월과 3월 사이 장갑차를 앞세운 트럭 3대에 분승한 군인들이 민간인들을 11대의 버스에 태우고 와서, 산청군 시천면 외공리 소정골에서 총살을 한 후 5곳의 구덩이에 매장한 사건이다. 이런 탓에 외공리 피해자들의 경우는 유족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 서봉석 전 산청군 의원은 “2000년 민간단체에서 1차 발굴을 진행한 결과를 보면 유품 중에 나타난 경농 등의 글자가 새겨진 단추와 금니, 실탄을 발견했다”고 말하고 이를 토대로 보면 피해자들은 부유층이며, 1.4 후퇴 당시 이송된 수도권지역 출신 민간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을 했다.

또 유골을 파악한 결과 어린이와 여성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 가족단위로 끌려와 학살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사진더보기
유해발굴 개토제
ⓒ 민중의소리



사진더보기
개토제에 참석한 유족들이 묵념을 올리고 있다
ⓒ 민중의소리


이에 앞서 산청군 시천면 덕산중고등학교에서 열린 개토제에는 유족 100여명과 김동춘 교수(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와 이종흡 경남대학교 박물관장, 외공리 대책위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전국유족회, 이재근 산청군수, 김민환 군의회의장 등이 참석했다.

김동춘 상임위원은 인사말을 통해 “왜 누가 그 사람들을 집단 살해했을까. 무엇이 두려워서 은밀하게 이런 일을 저질렀을까. 왜 어린이와 부녀자까지 죽였어야 했을까 하는 그 진실을 파헤지기 위해 첫 삽을 뜬다”고 말하고 이를 통해 “유족들의 한을 풀고 진실규명과 위령 화해사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유해발굴의 목적을 설명했다.

또 김종현 전국 유족회 상임대표는 추도사를 통해 “반세기가 더 지난 길고 긴 세월이었다”고 회고한 후 “이제야 겨우 발굴이 이루어지니 만시지탄을 느낀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민간인이 조류독감에 걸린 닭처럼 무참하게 도륙을 당할 지는 누가 상상이나 했겠나”고 묻고 “산자는 죽은 자의 모습만큼 처참하고 불안하게 살아왔다. 철저하게 진상을 규명해 유족들이 제사라도 지낼 수 있게 해 달라”고 소원했다.


사진더보기
제를 올리고 있는 유족들
ⓒ 민중의소리


이번 유해발굴을 담당하고 있는 이상길 교수(경남대 사학과)는 억울한 희생이란 것을 잘 알고 있지만 이데올로기 문제를 떠나 유해를 발굴하고, 그 발굴과정을 통해 진실을 확보하고 피해자들의 영혼을 달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그는 문화제 발굴기법을 사용해 2개월 정도의 발굴을 예정하고 있다며, 외공리부터 발굴조사에 들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실화해위는 이번 발굴을 통해 유골이나 유해를 통해서 피학살자들의 신원과 가해자, 피해자들 중 어린이와 여성들이 있는지 등 목격자들의 증언을 입증할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가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

Seagull Island, Jin-do - Unearthed Masscre / Bodo League

진도 '갈매기섬 비극'
60년 만에 규명되나
한국전쟁 당시 해남보도연맹원 300명 이상 학살
진실화해위, 9월 유해발굴 개시
입력시간 : 2008. 07.31. 00:00



진도 갈매기섬에서 집단 학살된 희생자 유골 중 지상에 노출된 일부를 수습해 관에 안치, 향후 합동 무덤 조성 등에 대비해 임시로 마련한 초분. 진도군 제공

진도군 의신면 수품항에서 쾌속선으로 30여 분 거리에 있는 무인도 '갈매기섬(갈명도)'. 크기가 각기 다른 3개의 섬이 잇닿아 있어 멀리서보면 마치 갈매기나 날개를 펴고 나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이같은 이름을 얻었다.

가끔 낚싯배만 찾을 뿐 한가롭던 갈매기섬이 민간인 집단 학살이라는 비극의 현장으로 전락한 것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7월.

당시 이승만 정권의 지시를 받은 경찰이 해남 출신 보도연맹원들을 대거 연행, 구금해오다 북한군이 진격해오자 부산으로 퇴각하면서 길목에 있는 갈매기섬에서 집단 학살을 자행한 것이다.

당시 희생자 수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지만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범국민위원회 해남군 유족회는 300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희생자 대부분은 해남군 산이면을 중심으로 북평, 화산, 송지, 삼산면 등지에서 소집된 보도연맹원들로 알려졌다.

하지만 갈매기섬의 민간인 학살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사건 발생 한참 뒤의 일이었다. 경찰이 해남이 아닌 진도의 외딴 섬을 학살 장소로 택한 데다 이곳이 사람의 왕래가 없는 무인도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서슬퍼런 군부독재 시절 공권력의 상징인 경찰에 의해 벌어진 학살사건을 파헤친다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 때문에 유족들은 숨진 가족의 시신조차 찾지 못한 채 오랜 세월 가슴에 한을 품고 지내올 수밖에 없었다.

해남군 유족회 관계자는 "당시 경찰에 끌려간 채 소식이 끊긴 가족의 생사를 몰라 발을 동동 구르던 유족들은 2002년 갈매기섬에서 신원을 알 수 없

는 다량의 유골이 발견된 뒤 소문으로만 떠돌던 참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그러나 경찰은 희생자 명단 등 관련 기록 열람을 거부하는 등 유족들의 진실규명 작업을 방해했다"고 말했다.

6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르면서 역사의 뒤안길에 묻힐 뻔한 갈매기섬 사건의 진실이 햇빛을 보게 됐다.

진실ㆍ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ㆍ이하 진실화해위원회)가 9월부터 진도 갈매기섬에 대한 유해발굴작업을 시작한다.

진실화해위원회는 발굴 작업을 통해 정확한 희생자 규모를 밝혀내는 한편 DNA검사로 신원 파악에도 나설 계획이다. 유해발굴단은 30일 진도 갈매기섬을 찾아 현지답사를 진행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진실화해위원회 관계자는 "유해 발굴작업은 갈매기섬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증거 수집 차원에서 이뤄진다"며 "현지에서 이미 상당수의 유골이 발견된만큼 많은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갈매기섬 진상규명 작업에 주력해온 향토사학자 박문규(74)씨는 "이번 유해 발굴을 통해 억울하게 희생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고 유가족들의 아픔이 조금이나마 치유되길 바란다"며 "앞으로 희생자 신원 확인은 물론 집단학살의 전개과정, 갈매기섬까지의 이동경로, 학살일시 등 정확한 사건의 실체가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원 기자 swpark@jnilbo.com


--------------------------------------------------------------------------------

보도연맹사건 = 좌익 운동을 하다 전향한 사람들로 1949년 전국적으로 조직된 반공단체로 정식 명칭은 '국민보도연맹'이다.

강제적으로 가입이 이뤄졌으며 지역별 할당제가 있어 사상범이 아닌 경우에도 등록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정부와 경찰은 이들이 북한군과 내통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해남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무차별적인 학살을 단행했다.

Buried truth of Korea killings exposed

Buried truth of Korea killings exposed
Korean War records show U.S. ambivalent during 'brutal chapter'
By Charles J. Hanley and Jae Soon Chang | Associated Press
11:05 PM CDT, July 6, 2008
DAEJEON, South Korea — Grave by mass grave, South Korea is unearthing the skeletons and buried truths of a cold-blooded slaughter from early in the Korean War.

With U.S. military officers sometimes present, and as North Korean invaders pushed down the peninsula in the summer of 1950, the southern army and police emptied South Korean prisons, lined up detainees and shot them in the head.

Some bodies were dumped into hastily dug trenches. Others were thrown into abandoned mines or the sea. Women and children were among those killed. Many victims never faced charges or trial.

The extermination campaign, carried out over mere weeks and largely hidden for a half-century, is "the most tragic and brutal chapter of the Korean War," said historian Kim Dong Choon, a member of a 2-year-old government commission investigating the mass executions.



The remains of hundreds have been uncovered, but researchers say those found are a tiny fraction of the deaths. An estimate of 100,000 such executions is "very conservative," said Kim. The true toll may be twice that or more, he said.

"Even now, I feel guilty that I pulled the trigger," said Lee Joon Young, 83, one of the executioners in a secluded valley near Daejeon in July 1950.

The retired prison guard said he knew that many of those shot and buried en masse were convicts or illiterate peasants wrongly ensnared in anti-communist roundups. They didn't deserve to die; they "knew nothing about communism," Lee said.

In addition, thousands of alleged collaborators with the communist occupation were slain by southern forces later in 1950, and North Korean troops conducted smaller-scale executions of rightists after their invasion on June 25, 1950.

Through the postwar decades of South Korea's dictatorships, fearful families kept silent about that blood-soaked summer. American military reports of the South Korean slaughter were stamped "secret." Communist accounts were dismissed as lies.



Mass graves uncovered
Only since the 1990s—and South Korea's democratization—has the truth begun to seep out.

In 2002, a typhoon led to the discovery of one mass grave. Another was found by a television news team that broke into a sealed mine. Further corroboration comes from a trickle of declassified U.S. military documents, including Army photographs of a mass killing outside Daejeon, about 90 miles south of Seoul.

Now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has added government authority to the work of researchers, family members and journalists trying to peel away the cover-up.

The 17 investigators of the commission's subcommittee on "mass civilian sacrifice," led by Kim, have been dealing with petitions from more than 7,000 South Koreans, involving about 1,200 alleged incidents, including 215 cases in which the U.S. military is accused of the indiscriminate civilian killings in 1950-51, usually in air attacks.

The commission last year excavated sites at four of an estimated 150 mass graves across the country, recovering remains of more than 400 people. It has confirmed two large-scale executions—at a warehouse in the central county of Cheongwon and at Ulsan on the southeast coast.

In January, then-President Roh Moo Hyun, who helped establish the commission, formally apologized for the more than 870 deaths confirmed at Ulsan, calling them "illegal acts the then-state authority committed."

The commission, with no power to compel testimony or prosecute, faces daunting tasks both in verifying events and identifying victims, and in tracing a chain of responsibility. Under Roh's conservative successor, Lee Myung Bak, the commission may find less budgetary and political support.

The declassified U.S. military records and other documents show an ambivalent American attitude toward the killings—a hands-off position at times and disapproving statements at times.

In July 1950, truckloads of prisoners were brought in from the city's prison and elsewhere day after day as North Korean troops bore down on Daejeon.


Bound and shot
The U.S. photos, taken by an Army major and kept classified for a half-century, show the macabre sequence of events.

White-clad detainees with their hands bound were thrown down prone, jammed side by side, on the edge of a long trench. Members of the military and police then stepped up from behind and shot them in the head.

Trembling policemen—"they hadn't shot anyone before"—were sometimes off-target, leaving men wounded but alive, Lee said. He and others were ordered to finish off the wounded.

Evidence indicates from 3,000 to 7,000 were killed in Daejeon, Kim said.

CIA and U.S. military intelligence reports circulating at that time, and since declassified, told of the Daejeon killings. Lt. Col. Bob Edwards, U.S. Embassy military attache in South Korea, wrote in conveying the photos to Army intelligence in Washington that he believed nationwide "thousands of political prisoners were executed within [a] few weeks."

Kim said his projection of at least 100,000 dead is based on extrapolating from a survey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one province, Busan's South Gyeongsang, which estimated 25,000 were killed. And initial evidence suggests most of the 300,000 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lists of suspected leftists were killed, he said.

Commission investigators agree with Edwards' note to Washington in 1950, that "orders for execution undoubtedly came from the top," that is, then-President Syngman Rhee, who died in 1965.

However, a U.S. Army war crimes report attributed all summary executions in Daejeon to the "murderous barbarism" of North Koreans.

The life of the commission—with a staff of 240 and an annual budget of $19 million—is guaranteed by law until at least 2010, when it will issue a final, comprehensive report.

Wednesday, July 30, 2008

The South Korean Massacre at Taejon: New Evidence on US Responsibility and Coverup

The South Korean Massacre at Taejon: New Evidence on US Responsibility and Coverup

Bruce Cumings

In July 2008 the world media heralded the arrest of “the world’s most wanted war criminal,” Bosnian Serb leader Radovan Karadzic. He had been in hiding for thirteen years, ever since he was charged with genocide by the United Nations war crimes tribunal in The Hague for his role in the massacre of some 8,000 Muslim men and boys in Srebrenica. These events were subsequently termed “Europe’s worst slaughter of civilians since World War II.” [1]



Radovan Karadzic in office and when captured


Fifty-eight years earlier, in another distant July,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bore down upon the city of Taejon, south of Seoul. Police authorities removed political prisoners from local jails, men and boys along with some women, massacred them, threw them into open pits, and dumped the earth back on them. Somewhere between 4,000 and 7,000 died, and their stories remained buried for half a century. American officers stood idly by while this slaughter went on, photographing it for their records, but doing nothing to stop it. In September 1950 the Joint Chiefs of Staff decided to keep these photos classified; they were not released until 1999, after a determined effort by a psychologist in New York, Do-Young Lee, whose father had been murdered by southern authorities in August 1950.

Charles Hanley and other colleagues at the Associated Press first broke the story of the Taejon massacre in the American press in 1999. After I was quoted in the media about it, I got a phone call from an American woman in Los Angeles whose father was one of the people slaughtered. In 1947 she was a Korean citizen living under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one of six children of a factory owner in a town near Taejon. He had prosp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t liberation thought it desirable to share some of his wealth. He was arrested in the raucous summer of 1947 (when hundreds if not thousands of Koreans died at the hands of the Occupation’s National Police) for giving money to “communists” and was still rotting in prison in July 1950. This woman (a registered nurse) and her four sisters and one brother had never been able to tell anyone outside the family how their father died. For half a century they had agonized over the loss of the family patri! arch, but privately even unto themselves—no one ever talked about it. She was weeping over the phone for half an hour about her experience.

Charles Hanley has been following this story for nearly a decade by now, and the two articles herein reflect both a deepened understanding of these distant events, and a maddening paradox about the United States and its citizens: when they finally pay attention, Americans are entirely capable of calling their leaders to account for their actions. Most of the time, however, no one pays attention, and in the worst instance, when awful crimes occur for which the U.S. bears a deep responsibility, they are covered up and buried, and one wonders if anyone cares—even when the truth finally comes to light. Neither of Mr. Hanley’s articles was picked up or covered by our paper of record, the New York Times (even though the Times had run a short version of the original Associated Press story on this massacre). Yet the Los Angeles nurse’s father was thrown into prison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1945-48), as were perhaps the majority of the prisoners in Taejon; this is ! a direct link between the Americans who held ultimate authority in southern Korea, and the awful events of July 1950. Yet most Americans, including some journalists for the New York Times in my experience, are unaware that there even was an American occupation of Korea after World War II.

But is this not a terrible story? I still recall, during my research on the Korean War, coming across a contemporary article in the London Daily Worker by Alan Winnington claiming that 7,000 non-combatants had been slaughtered by southern authorities in Taejon. The American Embassy in London denounced his article as a fabrication. I also wanted to chalk it up to communist propaganda, but I had lived through the Vietnam War and had become deeply skeptical of my own government’s credibility; I made a silent bet with myself that Winnington was probably not the liar. Later on I discovered archival evidence that Winnington was much closer to the truth than were the American officials who instantly laid the murders at the door of the North Koreans, and indeed have always denied that any such massacres occurred at any point during the three-year war. The official military history of the war in this period, Roy Appleman’s 1961 book,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blamed ! the Taejon massacre (and all other atrocities against civilians) on the North Koreans. Now that we have Hanley’s articles and other work based on declassified documentation, we know that Appleman, who had access to all internal documents, was not an honest historian but a participant in the cover-up.

It isn’t as if Americans at the time had illusions about their allies. The best candidate for South Korea’s leading war criminal—its Karadzic—is Kim Chong-wôn, otherwise known as “Tiger” Kim, and his career opens an individual window on the events upon which Mr. Hanley focuses. Kim epitomized the elite that the U.S. midwifed into power in South Korea, a man capable of anything, no doubt laughing to himself as Americans tried to corral his worst instincts. Charles Hanley links Kim to Lt. Col. Rollins S. Emmerich and the latter’s apparent willingness to allow Kim to slaughter thousands more prisoners held in Pusan jails, should the North Koreans threaten the city. In fact Emmerich and Kim go back much further than that.



Police Chief Chang Taek-sang with a man who may be Tiger Kim (left)


Kim Chong-wôn got the name “Tiger” for his service to the Japanese Army, and after 1945 he liked journalists to call him “the Tiger of Mt. Paekdu.” He volunteered for the Imperial Army in 1940 and rose to sergeant, “a rank which epitomized the brutality of the Japanese Army at its worst,” in the words of John Muccio, the U.S. Ambassador to Seoul in 1950; Kim served the Japanese in New Guinea and the Philippines. By 1946 he was in the Korean National Police, and for eight months in 1947 was the personal bodyguard of Chang T’aek-sang, head of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under the U.S. Occupation, and one of the most powerful men in Korea. Kim later entered the Army, where he rose quickly through the ranks in guerrilla suppression campaigns. Americans remembered him for his brutality in these campaigns (Muccio called it “ruthless and effective”), and for his refusal to take American orders. An American in 1948 termed him “a rather huge, brute of a man,” after! witnessing Kim and his men “mercilessly” beat captured rebels, including women and children, “with cot rounds, bamboo sticks, fists.” By August 1949 he was a regimental commander, and when the war began he was stationed along the 38th parallel.

Shortly thereafter an American advisor went “berserk with the idea of killing Kim,” according to Muccio. This officer was none other than Lt. Col. Emmerich, and he was not berserk: he said he would have to shoot Kim, “if no one else will get rid of him.” Kim was berserk: he had killed some of his own officers and men for alleged disobedience, avoided the front lines of fighting like the plague, and had beheaded fifty POWs and guerrillas (said to be just “one group” among others that had received this treatment). Soon Emmerich was transferred and Kim was temporarily relieved of his command under American pressure. When the Red Cross subsequently made representations about his murder of POWs, American officers said they “would not like to see it get in the hand of correspondents.” Kim’s furlough proved to be brief. President Syngman Rhee promoted him to Deputy Provost Marshal, and he soon commanded the martial law regime in Pusan, where as Hanley shows he again met up! with Emmerich, and distinguished himself in the squalid terror of the “conscription campaigns”, which consisted of “shanghai-ing the required number of young men off the streets.” He also prided himself on being a “one-man censor of the press,” which he indeed was in one instance where he personally administered a beating to two reporters for the Yônhap Sinmun. Although he was clearly, on this evidence, a war criminal, Tiger Kim was part of President Rhee’s bestiary of close and trusted confidants. Once South Korean forces entered Pyongyang in the fall of 1950, Rhee placed Kim in charge of the initial occupation, naming him Deputy Provost Marshall General for the northern capital. [2]

After the war another Korean officer in the Japanese military, Park Chung Hee, seized power and ruled until an October day in 1979 when his own intelligence chief, Kim Chae-gyu, murdered him over dinner. Kim was also a former Japanese officer. Indeed, both men had graduated in 1946 from the American military academy set up in the early years of the US occupation. A young protégé of Park’s, Chun Doo Hwan, mounted his own coup in May 1980 over the dead bodies of hundreds of Kwangju citizens. President Jimmy Carter, known for his human rights policies, supported Chun’s rise to power because he feared the North Koreans might take advantage of rebellions in the South. The Kwangju massacre was not a crime on the scale of Srebrenica: but Taejon was. And as always in our relations with Korea, it seems, Americans were just uninvolved bystanders, doing nothing—and therefore blameless, and therefore innocent. Someday the depth of American responsibility for the tr! agedies of postwar Korea will be fully known, but it is doubtful that Americans will be paying attention.


Bruce Cumings teaches in the History Department and the Committee on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is the author of the two volume work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and North Korea: Another Country.

Bruce Cumings wrote this article for Japan Focus. Posted July 23, 2008.

See the accompanying series of stories by Associated Press writers Charles J. Hanley and Jae-Soon Chang. Summer of Terror: At least 100,000 said executed by Korean ally of US in 1950.



Notes

[1] “A Leader turned Ghost,” New York Times (July 22, 2008), p. A10. [Note that this AP report carried no byline.]

[2] Most of the information and quotations in the text are in Ambassador Muccio’s report, State Department 795.00 file, box 4267, “`Tiger’ Kim vs. the press,” May 12, 1951. On the beheading incident, see Record Group 338, entries for July 26 and Aug. 2, 1950. On Rhee and Tiger Kim, see the Matthew Ridgway Papers, box 20, draft of a message Muccio planned to present to Rhee, May 3, 1951, chiding Rhee for relying on Tiger Kim and his ilk for intelligence information, rather than the established agencies. On the occupation of Pyongyang see Truman Library, PSF, CIA file, box 248, daily summaries for Oct. 19, 25, 1950; ibid., NSC file, box 3, CIA report for Oct. 25, 1950; 795.00 file, box 4267, Muccio to State, May 12, 1951.




Japan Focus

미군정하 대한민국 대전에서의 대량학살:
이와 관련한 미국의 책임과 은폐시도에 관한 새로운 증거 자료

부르스 커밍스

2008년 7월 세계 언론은 역사상 가장 악명 높은 전범 중 한 명인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계 리더인 라도반 카라드지치의 체포 소식을 알렸다. 그는 헤이그의 국제연합 전범 재판소에서 스레브레니카에서 있었던 8천 여명의 무슬림계 남성과 소년들의 대량학살과 관련하여 그의 역할이 책임이 있다는 판결을 받은 이후부터 13년 간 은둔 생활을 하였다. 이 사건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가장 참혹한 민간인에 대한 대량학살이라는 오명을 갖게 되었다.

58년 전 7월, 조선 인민 공화국 군대가 대한민국의 대전을 침략하였다. 경찰권력은 정치범들을 지역 감호소로부터 빼낸 다음, 구덩이 속에 그들을 집어 넣은 다음 매장하였다. 4천에서 7천여 명이 당시 사망하였고, 그들의 이야기는 그 후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사람들의 기억 속에 묻혀 있었다. 당시 관련 미군들은 학살이 진행되는 동안 이를 방관하였고, 자신들의 내부기록을 위해 이를 사진으로 남겼으나 학살을 막기 위한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1950년 9월 한미연합사령관은 관련 사진들을 기밀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고, 이 기록은 뉴욕에 거주하는 심리학자 이도영씨 (이도영씨의 아버지는 1950년 8월 대한민국 정부 기관들에 의해 살해되었다)의 결심과 노력이 열매를 맺은 직후인 1999년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AP 소속의 찰스 핸리와 그의 동료들은 1999년 미국 언론들에 반세기 전 대한민국 대전에서 발생한 집단 학살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으로 공개하였다. 또한 사건과 관련하여 미디어에 본인이 소개된 후 필자는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거주하는 한 여인으로부터 그녀의 아버지 또한 당시 학살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는 전화를 받았다. 1947년, 그녀는 미군정하에 살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시민이었고, 대전 근처의 한 마을에 위치한 공장의 소유주의 여섯 아이 중 하나였다. 그녀 아버지의 사업은 일제시대 동안 번창하였고, 해방이 되면서 그녀의 아버지는 가진 재산의 일부를 나누는 것이 합당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소란스러웠던 1947년 (수 백 명에서 수 천명으로 추산되는 한국인들이 점령군 경찰력에 의해 사망할 당시) 여름 “공산주의자들”에게 자금을 제공한 혐의로 체포되었고, 1950년 7월까지 현지 구치소에 감금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간호사로 일하고 있는 이 여성과 그녀의 네 자매, 1명의 남자 형제는 그 동안 어떻게 그들의 아버지가 사망하였는지에 관련하여서는 가족 이외의 그 누구에게도 말할 기회를 갖지 못했고, 지난 반세기 동안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한 상실감에 고뇌하였다. 전화기에 대고 그녀는 30분여 분간 자신의 경험을 얘기하며 흐느꼈다.

찰스 핸리는 지금까지 거의 10여 년에 걸쳐 위에 소개된 사건을 추적하여 왔고, 그 중 두 개의 기사가 위에 언급된 사건과 관련한 심도 깊은 이해와 미국과 미국인들에 대한 역설적인 면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사건들이 마침내 주목을 받게 되었을 때, 미국인들은 자신들의 지도자들에게 그들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사건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은 대체로 거의 없었고, 최악의 경우에 어떤 이들은 미국이 깊이 책임을 져야 할 사건들이 이슈화되는 것을 은폐하려 하였고, 많은 이들은 심지어 진실이 결국 규명되었다 하더라고 누구 하나 관심이 있는 이들이 있을까를 궁금해 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찰스 핸리의 위의 사건과 관련된 기사 중 그 어떤 것도 뉴욕타임즈에 의해 다뤄지지 못했다 (AP에 사건과 관련한 그의 짤막한 토막기사가 간략하게 소개되기는 하였다). 그러나 위에 소개된 미국 로스엔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는 간호사의 아버지는 당시 대전에 있던 대다수의 정치범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미군정 (1945~48)하에서 감금되었고, 이는 당시 남한에서 절대적 권력을 갖고 있었던 미군정과 1950년 7월에 발생한 끔찍한 사건을 잊는 직접적 연결고리이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으로 미루어 판단컨데, 뉴욕타임즈의 몇몇 기자들을 비롯한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한국을 점령한 사실이 있었던지 조차 인지하고 있지 못하다.

참으로 당혹스러운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필자는 한국 전쟁에 관해 조사를 하던 중 당시 대전에서 7,000여 명의 비전투인(민간인)이 학살되었다고 주장하는 London Daily Worker지에 실린 앨랜 위닝턴의 기사를 본 기억이 있다. 런던 소재 미국 대사관은 그의 기사를 위조된 것이라 일축하였다. 필자 역시 이를 공산주의자들의 선전책동이라고 치부하고 싶었으나, 본인 또한 베트남 전쟁을 경험하며 이를 통해 필자의 정부 (미국 정부)의 신용도에 관해 심각하게 의구심을 갖게 되었던 터라 이 소식을 접하며 위닝턴이 거짓말을 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 후 필자는 위닝턴이 단순이 사건을 북한의 책임으로 돌리고, 3년 동안의 전쟁 기간 중에 그러한 민간인에 대한 대량학살들이 자행되었다는 것을 언제나 부인하는 미국 공무원들보다 훨씬 진실에 가깝게 접근하여 있다는 관련 기록 자료를 발견하였다. 당시 전쟁 중 공식 군 기록을 인용하고 있는 로이 애플먼의 1961년 책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에 의하면, 미군정은 대전에서의 대량학살을 비롯한 민간인에 대한 기타의 다른 대량 참살의 책임을 전적으로 북한에게 돌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핸리의 기사들과 그 밖의 보안이 해지된 기밀 서류 등을 근거로 하여 당시 내부 문서에 접근이 가능했었던 애플먼이 진실하지 못한 역사학자이자 사건의 은폐에 사실상 참여하였다는 것을 지금은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 그 동맹국에 관해 환상을 갖고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구 유고슬라비아 학살의 전범 카라지치에 해당할 만한 남한의 대표적인 전범으로는 “타이거 킴” 이라고 알려진 김종원을 들 수 있다. 그의 화려한 경력은 핸리가 관심을 두고 있던 사건들에 관해 개별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김종원은 당시 남한에서의 미군정의 영향력을 확대시키기 위해 매개체로 사용한 엘리트 집단의 전형적 모습을 가지고 있었다. 찰스 핸리는 김종원을 론린스 에머리크 중령과 연관시키고 있는데, 이는 에머리크 중령이 북한이 부산을 위협한다면 김종원으로 하여금 부산 구치소에 감금되어 있는 수천 명의 수감수들을 추가로 학살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간과하리라는 것이 분명하였기 때문이다. 사실, 에머리크 중령과 김종원의 관계는 이보다 훨씬 과거로 거슬러 간다.

김종원은 일본 군대에서의 그의 역할을 통해 “타이거”라는 별명을 갖고 있었는데, 일설에 의하면 1945년 이후 그는 기자들에게 자신을 “백두산의 타이거”라고 지칭해 주기를 요청하였다고 한다. 김은 1940년 일본제국군대에 자원하였고 존 무치오가 표현하기로 최고로기에 일본군의 잔인함을 가장 적절히 전형시킨 계급인 하사관까지 진급하였고, 1950년에는 서울 주둔 미국 대사를 역임하였으며, 뉴기니와 필리핀에서 일본군을 위하여 근무하였다. 1946년 무렵 그는 한국의 경찰이되었고, 그 후 8개월 간 1947년까지 미군정 하의 서울시경찰청장이었던 장개상의 개인 경호관이자, 당시 한국에서 가장 권력이 있는 이 가운데 한 명이 되었다. 그 후 군대에 입대한 김종원은 게릴라 소탕 작전 등에서 세운 공 등으로 빠르게 진급해 나갔다. 미국인들은 당시 김을 게릴라 소탕에서 그가 보여준 잔인한 면모와 (이를 존 무치오는 “무자비하나 효율적인”이라고 표현하였다) 미국측의 명령을 따르기를 거부했던 한국인 정도로 기억하였다. 1948년 한 미국인은 생포한 포로와 여자, 어린이들을 인정 사정없이 폭행하는 김과 그의 부하들을 본 후, 김종원을 “다소 비대하고 냉혹한 사람”이라고 묘사하였다. 1949년 무렵 김종원은 연대장이 되었고, 전쟁이 시작될 무렵에는 38선을 따라 주둔하였다.

그 직후, 존 무치오에 따르면, 한 미국인 자문가는 김종원을 암살할 계획에 몰두하였다고 하는데, 이 미국인이 에머리크 중령이고, 그는 다른 누군가가 김을 없애지 않는다면, 자신이 그를 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김종원은 소위 불복종이라는 혐의를 씌워 자신의 사령관들과 부하를 처단하였고, 전투의 선봉에 서는 것을 기피하였으며, 50여 명에 달하는 전범과 게릴라를 처형하였다. (이와 관련해 어떤 자료는 앞의 수치는 비슷한 처벌을 받은 여러 개의 집단 중 한나의 경우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후, 에머리크 중령은 다른 곳으로 전령을 받았고, 김은 미군정으로부터의 압력으로부터 임시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었다. 적십자사가 전범들의 살해에 관한 김종원의 역할에 관해 언급하였을 때, 미군관계자들은 “그 자료가 기자들의 손에 들어가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고 하였다.

김종원의 미군정의 압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기간은 짧았다. 당시 남한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은 김을 Deputy Provost Marshal로 승진시켰고, 김은 직후부터 부산에서 시행된 계엄령을 진두 지휘하였다. 부산에서 김은 에머리크와 다시금 조우하게 되었는데, 이 때 김종원은 거리에서 젊은이들을 속여 강제로 동원, 징집한 “징병운동” 비열한 공포를 조성하는 등의 활동으로 자신의 역할을 각인시키고 있었다. 김은 또한 당시 언론을 통제하는 유일한 사람이었는데, 일례로 그는 연합신문의 기자 두 명에 대한 폭력을 지휘한 혐의를 받은 사건이 있었다. 위와 같은 예에서 보여지듯이 분명히 전범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이거 킴”은 이승만 당시 대통령에게 가장 가깝고도 신임을 받는 이들 중 하나가 되었다. 1950년 가을, 남한 군이 평양에 진입하자, 이승만은 김에게 Deputy Provost Marshall General로 임명하여 초기 점령을 책임지게 하였다.

전후 일본군 내의 또 다른 한국인 장교였던 박정희는 정권을 잡고 자신의 최 측근인 정보부장이자 역시 일본군의 장교였던 김재규가 저녁식사 장소에서 그를 암살할 때인 1979년 10월까지 국가를 통치하였다. 사실, 김재규와 박정희는 모두 1946년 미군정 초기에 설립된 미국군사학교 (American Military Academy)에서 수학하였다. 박정희의 젊은 추종자였던 전두환은 1980년 광주에서 수백 명의 학살을 야기시키며 쿠테타를 일으켰다. 인권정책으로 유명한 당시 미국의 지미 카터 대통령은 전두환의 정권찬탈 계획을 지지하였는데, 이는 남한의 혼란한 정국을 탄 북한의 도발을 우려했기 때문이었다. 광주학살은 스레브레니카의 것과는 그 규모가 비교되지 못하지만, 대전학살의 경우는 스레브레니카 학살과 그 규모 면에서도 견줄 수 있을 만 하다.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를 언급할 때는 항상 그래왔듯이, 이 때에도 미국은 당시의 상황에 직접적으로는 개입하지 않았던 방관자였다고, 그렇기 때문에 책임을 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언젠가는 전후 한국에서 발생하였던 참상들에 미국이 얼마나 책임이 있는지가 완전히 알려질 때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미국이 얼마나 관심을 가질 것인가는 의심이 많이 가는 대목이다.

부르스 커밍스는 시카고 대학의 역사학과와 국제관계위원회에서 가르치고 “한국전쟁의 기원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과 “북한: 또 다른 국가 (North Korea: Another Country)”등 저서의 저자이다.

부르스 커밍스는 이 기사를 2008년 7월 23일자 Japan Focus를 위하여 작성하였다.

AP통신의 Charles J. Hanley와 장재순이 쓴 관련 기사인 “Summer of Terror: 적어도 100,000명 이상이 1950년 미국의 한국 동맹군에 의하여 처형되었다.”를 참조하십시오.

Ham, Seok Heon, the philosopher

이사람] 함석헌의 ‘무교회 정신’이 사라졌다
씨알사상 책 펴낸 조향균 계성종이박물관장


한승동 기자



» 작고 1년 전인 1988년 여름 한국퀘이커교 대표였던 함석헌(앞줄 왼쪽 두번째) 선생이 회원들과 함께 당시 서울 화곡동에 있는 조형균(앞줄 왼쪽 첫번째)씨네 자택을 방문했을 때 찍은 기념사진.



“도쿄 조직은 100개 넘어 한국과 대비”
사상적 후예 자처…역사 수필도 펴내



» 조형균(80·계성종이박물관장)



한국 최고의 종이 전문가이자 함석헌 사상 연구가로서 한-일관계를 비롯한 역사 바로잡기에 삶을 받쳐온 ‘평생 평신도’ 조형균(80·계성종이박물관장)씨가 두 권의 책을 함께 냈다. 하나는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신앙과 민족문제, 선학들에 대해 쓴 에세이들을 엮은 <씨알(아래알)의 오솔길-상>, 또 하나는 2차대전 뒤 역사를 반성적으로 돌아보며 패전국 독일과 일본, 그리고 한국인들의 자기점검에 대한 글들을 모아 묶은 <역사 신앙 고백>(그물코 출판사)이다.

조씨는 <씨알(아래알)의 소리> 회보 등에 쓴 글을 가려 모은 이 책을 “무어 특별히 내놓을 만한 글이 있어서가 아니라, 다만 생각의 오솔길에 주어진 작은 거둠들을 매개로 독자 제현과 진솔한 대화라도 나눴으면 하는 생각에서 내놓는다” 했다. 하지만 지난 5일 출판기념회에서 김경재 한신대 명예교수(삭개오 작은교회 담임목사)가 “이 책에 실린 글이 이제까지 나온 씨알(아래알)에 대한 글들 중에서도 가장 폭넓고 깊은 사유를 보여준다”고 평가한 것처럼 책의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 특히 많은 글에서 변주되는 일제 식민지배에 대한 기억과 광복 뒤에도 그 치욕을 발전적으로 극복해내지 못한 우리 현실에 대한 통렬한 회오는 독도문제가 다시 불거진 지금 새삼 시시하는 바가 크다.

그와 함석헌 선생의 인연은 깊고도 각별하다. 그에게 민족의식을 가르쳤고 일제 때 두 번이나 옥고를 치른 부친 조세장 장로가 마지막 남긴 글이 ‘함석헌’ 이름 석자였다. “그 분(함석헌)이 1947년 3월24일 월남하셨는데 그해 마침 서울대 문리대 기독학생회의 전도강연회에서 밤 강사로 등장한 그 분과 청중의 한 사람으로 처음 만났지요. 그 후 그분이 쓰신 글이 실린 잡지나 단행본은 무조건 사서 읽었지요.” 그는 “그 분과 코드가 맞았고 장성하면서 지적 욕구도 그 분을 통해 채웠다”고 했다.

그는 자신이 고수해온 무교회정신의 대표적인 인물이 한국에선 함석헌이고 일본에선 우치무라 간조인데 그들 사후 한국과 일본이 걸어간 길은 너무나 대조적이라며 그것을 “함석헌의 비극”이라고 했다. “일본에선 우치무라의 정신을 이어받은 무교회 조직이 도쿄지역에만 100개가 넘고 오사카에서도 그의 정신이 50여군데나 가지치기를 하며 착실히 성장하고 있지만 한국에선 함석헌의 정신을 옳게 이해하지 못했다. 사회 참여 활동같은 빙산의 일각만 기억할 뿐 잠겨있는 거대한 부분엔 이르지 못했다. 우린 교회적 종교, 그 조직과 교권 등 외형은 그럴듯하게 성장했지만 기독교 생명은 쇠잔했다. 겨우 잡지 하나로 그 명맥을 이어왔는데, 거기에 글을 쓰면서 그 분과 대화 아닌 대화를 나눈 게 바로 이 책이다.”

<역사 신앙 고백>에는 “과거에 대해 눈을 감는 자는 결국 현재에도 눈먼 자가 되는 것”이라며 과거 잘못에 대한 숨김없는 고백과 그것을 토대로 한 진정한 용서와 화해를 촉구한 리하르트 폰 바이체커 독일 대통령의 국회연설문 ‘광야의 40년-1945년 5월8일과 그 후 40년’, 일본 무교회주의자 다카하시 사부로의 ‘전후 일본의 재건과 미주(迷走)’, 그리고 함석헌, 김재준, 한경직, 김경재, 박상증 등의 글도 함께 실었다.



한승동 선임기자 sdhan@hani.co.kr, 사진 조형균씨 제공